하지만 우리 정부 기관과 기업 등에 대한 중국 해커들의 공격은 한두 번이 아니다. 지난 1월에는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을 비롯한 국내 12개 학술기관 홈페이지가 중국 해커 조직의 공격으로 마비됐다. 4월에는 중국과 연계된 해커 조직이 정부 산하 기관의 민간 용역업체를 해킹한 정황도 당국에 포착됐다. 국가정보원과 보안업계 등에 따르면 한국에 대한 해킹 공격의 80% 이상이 북한과 중국 소행이라고 한다.
누구의 소행이든 정부 보안시스템에 구멍이 뚫린 건 심각한 문제다. 청와대 전산망을 통해 국방부 관련 문서가 유출된 정황도 있다니 더욱 그렇다. 타국에 대한 북한, 중국, 러시아의 해킹 도발은 이미 세계적으로 악명 높다. 북한은 해킹으로 가상자산을 탈취해 핵미사일 개발 비용을 대고 있다. 미국 일본 등 각국 정부와 기업들을 공격하는 중국 해커 조직 배후에 우리의 국정원 격인 국가안전부가 있어서 타국의 정부·민간 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있으며, 선거에 개입한다는 의심도 끊이지 않고 있다. 러시아의 2016년 및 2020년 미국 대선 개입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최근 국가정보원의 보안점검 결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투개표 시스템에서 해킹 취약점이 다수 확인됐다. 해커들은 정보만 노리는 게 아니다. 자신들에게 유리한 쪽으로 정보를 조작해 여론을 왜곡한다. 외부 세력의 내년 총선 개입 가능성에 대비해야 하는 이유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