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투자는 메가스터디가 설립한 땡스벤처스와 스페이스자산운용 등이 참여했다. 일반적인 이미지 분야가 아닌, 패션에 특화된 생성형 AI 서비스라는 점에서 투자자의 선택을 받았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11/01.35136385.1.png)
그는 '패알못(패션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지만 생성형 AI 시장이 열리는 것을 보고, 시장 규모가 큰 패션 업계를 선점하기 위해 또다시 창업에 뛰어들었다.
바이스벌사는 세밀한 패션 콘텐츠를 생성해낼 수 있도록 패션에 특화된 AI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미드저니 등 타 서비스들이 생성형AI 기술을 기반으로 광범위한 이미지 영역을 다루는 것과 달리, VIIM 서비스는 패션이란 분야를 특화한 게 차별점이다.
지난 8월 패션 커뮤니티 서비스 VIIM의 베타버전을 출시했으며, 이달 16일 생성형 AI를 활용한 'VIIM 포토슛'을 선보이며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했다. 사용자들이 다양한 패션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는 서비스다.
회사 관계자는 "출시 일주일 만에 2000명이 가입했으며, 10% 정도의 유료 전환율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VIIM 서비스 내 '프로덕션 기능'을 이용하면 누구나 패션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다. 프롬프트를 입력하여 상상한 패션디자인을 마음껏 만들어볼 수 있으며, 포토슛 기능을 통해서 자기 얼굴이 반영된 패션화보를 만들어볼 수도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11/01.35136386.1.jpg)
윤예섭 땡스벤처스 파트너는 “패션 분야에 특화된 AI가 적었던 만큼, VIIM 서비스를 통해 국내 브랜드가 해외 유저들에게 손쉽게 다가갈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이러한 도전은 글로벌에서도 주목받고 있으며 최근 K-패션이 해외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시기에 더욱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