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철수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장 3일 “인도는 미국의 무역 우방국으로 수혜를 보는 데다 자체 내수시장도 크다”며 “특히 내수를 이루는 구성원이 젊은 층이어서 소비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태동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신흥국 중 미국 경제 의존도가 높은 곳은 내년도 성장세가 양호하겠지만, 나머지 시장은 고금리 여파로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인도와 멕시코의 주당순이익(EPS)은 2024년에도 10% 초·중반대 증가율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남미 시장은 달러 가치가 하락할 경우 환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김상훈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남미 시장은 달러가 강하냐 약하냐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며 “중국을 대신하는 글로벌업체들의 공장으로 부상하는 상황에서 달러 가치까지 하락하면 시장의 관심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주식을 환매하는 시점에 매매 차익에 더해 환차익도 챙길 수 있다.
중국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의 약세장을 전망하는 시각이 많았다. 신중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최근 내놓은 부양책 영향이 미미해 중국 경기는 올해보다 좋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인의 가계 순자산 대비 부채 비율이 145%로 높아 소비 여력도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중국 경기가 내년 소폭 반등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김지산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중국은 부동산 등 우려가 남아 있지만 수요를 중심으로 경기가 회복할 것”이라며 “알리바바, 핀둬둬 등 플랫폼 업종과 정보기술(IT), 소비재 등이 유망하다”고 분석했다.
아시아 지역에선 반도체 섹터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정연우 대신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신흥국 중에서는 미국 반도체 공급망이 연결된 한국 시장을 가장 좋게 본다”고 추천했다. 신 센터장도 “과거에는 원자재를 보유한 나라나 동남아가 유망한 신흥국 시장으로 꼽혔지만 이제는 한국이나 대만처럼 미국 밸류체인에 속해 있으면서 하이테크놀로지를 갖춘 국가를 선호한다”고 했다.
윤아영 기자 youngmone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