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12/AA.35214912.1.jpg)
에코프로이엠은 급성장하는 양극재 시장에서 양산 체계를 조기에 확보하며 국내 2차전지 산업의 해외 시장 선점에 크게 기여했다. 하이니켈계 고용량 양극재 시장에서 이 회사의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2.2%다.
박종환 에코프로이엠 대표(사진)는 33년간 2차전지 양극 소재 분야에 몸담아온 배터리 전문가다. 2020년 2월 에코프로비엠과 삼성SDI의 합작법인으로 출범한 에코프로이엠의 설립을 총괄했다. 이후 매년 양극재 공장을 지어 연 9만t 규모의 국내 최대 생산 역량을 구축했다. 지난해 하이니켈계 양극재 단일 공장으로서는 세계 최대인 연 5만4000t 규모 CAM7 공장을 준공한 데 이어 올 1월엔 연 3만6000t 규모 CAM8 공장을 추가했다.
특히 설비와 제품 특성을 사전 검증하고 소재 동질성을 평가하는 기술을 확보해 양산 체계를 조기에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양극 소재를 규격화한 것도 안정적인 생산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회사는 이를 통해 공장 시험 운전 기간을 기존 2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하고 양산 시기를 당초 계획보다 3개월 이상 앞당겼다. 생산성도 2021년 월 1500t에서 2022년 월 1650t으로 끌어올렸다.
조기에 양산 체계를 구축하면서 급격한 글로벌 수요 증가에 발 빠르게 대응했다. 2021년 5000억달러였던 수출 실적은 2022년 2억4000달러로, 매출은 2021년 118억달러에서 2022년 2조원으로 수직으로 상승했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