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12/ZA.35127779.1.jpg)
전두환 전 대통령의 유해가 안치될 장소를 찾지 못해 2년째 자택에서 안치 중이다.
6일 파주시 등에 따르면 지난달 중순께 전두환 전 대통령이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장산리에 안장될 것이라는 소식이 지역에 전해지면서 시민단체와 정치인, 시장까지 나서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 전 전 대통령의 안장이 추진된 토지의 소유주가 최근 매매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휴전선과 가까운 경기 파주시 문산읍 장산리에 전 전 대통령의 유해를 안장하려던 계획은 수포가 됐다.
토지 소유자는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가계약 기간이 이미 끝났는데 본계약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매물을 거둬들였으며 앞으로도 팔 생각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토지 소유자는 지난해 3월 지인들과 토지 매매를 위한 가계약을 맺었지만, 올해 10월로 예정됐던 본계약이 성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토지에 캠핑장과 요양원을 짓기 위해서는 군 당국의 동의가 있어야 하는데 매수자 측에서 이 절차를 마무리하지 못해 정식계약으로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소유자는 "우리 땅에 전두환 전 대통령의 유해가 안장된다는 언론보도가 나오면서 부담을 느꼈다"고 털어놓았다. 부담감이 있는 상황에 가계약 기간마저 끝나 매도를 포기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다. 이에 따라 2년 이상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에 임시 안치 중인 전 전 대통령의 유해는 안장에 더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전 전 대통령은 앞서 회고록을 통해 "북녘땅이 내려다보이는 전방 고지에 백골로라도 남아 통일의 날을 맞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고, 이에 맞춰 유족은 휴전선과 가까운 곳에 안장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12/ZA.35206426.1.jpg)
하지만 파주 장산리 안장 계획이 알려진 뒤 파주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시민 단체들이 반대 기자회견을 여는 등 반발이 거셌다. 겨레 하나 파주지회 등 11개 시민단체는 "쿠데타, 광주학살, 군부독재, 민중 탄압의 상징인 전두환이 묻힐 자리는 없다. 나아가 파주 그 어디에도 학살자 전두환을 편히 잠들게 할 곳은 없다"고 매장 반대 의사를 밝혔다.
여기에 파주를 지역구로 하는 정치인들까지 나섰다. 파주 을 지역을 지역구로 하는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전두환은 전 재산이 29만 원이라고 주장하면서 골프를 치러 다녔고, 추징금 1천20억과 체납세금 30억은 끝내 납부하지 않았다"며 "이번 묏자리의 땅값만 5억원이 넘는데, 국가에 진 빚부터 갚는 것이 최소한의 예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위해서라도 전두환은 절대 파주에 묻혀서는 안 된다"고 전했다.
같은 당 소속의 김경일 파주시장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대한민국 민주화의 봄을 철저히 짓밟고 국민을 학살한 전두환의 유해를 파주에 안장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며 "전두환 유해의 파주 안장을 결사반대한다"고 밝혔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