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내 혼인신고를 하고 이를 유지 중인 신혼부부 수가 다시 한번 역대 최저치를 달성했다. 이들의 평균 자녀 수도 매해 감소해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0.65명을 기록했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신혼부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신혼부부 수는 전년 대비 6.3% 감소한 103만2000쌍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5년 관련 통계조사 이래 최저치다.
연간 신혼부부 수는 2018년 132만2000쌍에서 2019년 126만쌍, 2020년 118만4000쌍, 2021년 110만1000쌍 등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올해 신혼부부 수는 100만쌍을 밑돌 가능성이 크다.
혼인 연차별로 보면 1년 차 18만5830쌍(18.0%), 2년 차 18만7683쌍(18.2%), 3년 차 20만4883쌍(19.8%), 4년 차 22만1351쌍(21.4%), 5년 차 23만2506쌍(22.5%) 등이다.
특히 모든 연차에서 전년 대비 신혼부부 수가 감소했는데 감소 폭은 2년 차가 -10.4%로 가장 컸다. 이어 3년 차(-9.3%), 4년 차(-6.5%), 5년 차(-2.1%), 1년 차(-3.2%) 등 순이다. 다만 2021년 -7.0%이던 신혼부부 수의 감소 폭은 2022년 들어 -6.3%를 기록하며 소폭 축소됐다.
통계청은 통상 비혼과 만혼이 늘며 1년 차 신혼부부의 감소 폭이 큰 편이지만 코로나19로 지연된 결혼의 상당 부분이 지난해 이뤄지면서 예년보다 낮았다고 설명했다.
지역별 신혼부부 수는 경기가 30만8634쌍으로 전체의 29.9%를 차지했다. 이어 서울 18만4804쌍(17.8%), 인천 6만2844쌍(6.1%), 경남 5만9601쌍(5.8%), 부산 5만8215쌍(5.6%)으로 집계됐다.
1~5년 차 신혼부부 81만5000쌍의 평균 자녀 수는 0.65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연도별로는 2018년 0.74명, 2019년 0.71명, 2020년 0.68명, 2021년 0.66명 등으로 해가 갈수록 감소했다. 혼인 연차별 평균 자녀 수는 1년 차 0.21명, 2년 차 0.42명, 3년 차 0.63명, 4년 차 0.83명, 5년 차 1.01명이다.
유자녀 비중은 혼인 1년 차 20.2%에서 5년 차 75.3%로, 혼인 연차가 높아질수록 비중이 커졌는데 특히 혼인 3년 차에 들어서며 '자녀 있음' 비중이 '자녀 없음'(44.2%)을 앞섰다.
맞벌이 부부의 유자녀 비중은 49.8%로, 외벌이 부부(59.4%)에 비해 낮았다. 아내가 경제활동 여부에 따라 유자녀 비중이 달라졌다. 아내가 경제활동 하는 부부의 유자녀 비중은 49.2%였던 반면,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부부의 유자녀 비중은 60.9%에 달했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