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유럽중앙은행(ECB)과 영국중앙은행(BOE)이 미국 중앙은행(Fed)에 이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그러나 ECB와 BOE는 시장의 기대와 달리 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하지 않았다. 미국을 따라 유럽 등 선진국이 내년부터 금리를 내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그 시점은 다소 차이가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12/AA.35335967.1.jpg)
다만 BOE는 시장 예상과는 달리 당분간 고금리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는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앤드루 베일리 BOE 총재는 “연이은 금리 인상은 인플레이션을 올해 1월 10% 이상에서 10월 4.6%로 낮추는 데 도움이 됐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며 “인플레이션을 2%로 되돌리기 위해 필요한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의 경제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높은 인플레이션을 우선적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이는 내년에 세 번 이상 금리를 내릴 것임을 시사한 Fed와 대조된다.
로이터통신은 “이번 BOE 통화정책회의에서 금리 인하 논의는 없었다”며 “BOE는 영국의 인플레이션이 미국과 유로존에 비해서 더 오래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ECB는 “최근 몇 달간 인플레이션이 하락했지만, 가까운 시일 내 일시적으로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며 “유로존의 인플레이션은 점진적으로 내려가 2025년에는 목표치인 2%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금리 인하 시기를 묻는 질문에 “우리는 시간이 아니라 경제지표에 의존해 금리를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