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시 홀리 미국 상원의원(미주리주·공화당)은 중국산 수입품에 적용하는 관세율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며 법안을 발의했다. 앞서 1930년 미국이 수입품에 높은 관세율을 적용하는 ‘스무트 홀리 관세법’을 제정했다가 미국의 대공황이 더 악화한 역사가 있었는데도 말이다.
미국 대선을 앞두고 관세가 화두다. 대선 후보 중 한 명인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재선하면 모든 수입품에 세율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다.
그렇다면 미국은 검색엔진이나 소셜네트워크에 관세를 부과해야 할까? 이 분야의 강자인 미국에는 그럴 이유가 없다. 중국은 미국산을 차단해 자국민이 저품질 상품·서비스를 쓰게끔 한다. 관세 부과 자체가 그 나라의 약점이 어디에 있는지 보여준다.
수익성이 중요하다. 무역 적자 자체는 중요하지 않다. 2022년 기준 미국 애플의 영업이익률은 30.2%였지만 애플 협력사인 대만 폭스콘은 2.63%에 불과했다. 이익률이 낮은 옷이나 인형을 제조해야 할까, 유전자 치료·생성형 인공지능(AI)·차세대 물류·첨단 미사일 시스템에 집중해야 할까?
정부는 자주 잘못된 정책 판단을 내린다.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은 합성연료를 화석연료의 대안으로 여기며 예산을 투입했지만, 지나고 나니 에너지 채굴이 답이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파산한 미국 자동차 기업 크라이슬러를 이탈리아 피아트에 넘기는 데 찬성했는데, 역시 나중에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의 반도체지원법도 예산 낭비다.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큰 정부와 보호주의에 근간한 ‘뉴 워싱턴 컨센서스’를 들고나왔다. 정치인들은 전기차·친환경 에너지 전환과 리쇼어링을 주장한다. 국민은 더 큰 비용을 치르게 됐다.
정치인 말고 시장이 어떤 산업을 발전시켜야 할지 결정해야 한다. 관세는 약점을 드러내는 신호다. 관세와 산업 정책이란 사실 패자(loser)를 위한 것이다.
이 글은 영어로 작성된 WSJ 칼럼 ‘Tariffs Are for Losers’를 한국경제신문이 번역한 것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