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12/AA.35372248.1.jpg)
그러나 이어진 ‘정치 경험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진짜 위기는 경험이 부족해서라기보단 과도하게 계산하고 몸을 사릴 때 오는 경우가 더 많았다”고 우회적으로 반박했다. 이는 국민의힘이 뜻을 모아 자신에게 비대위원장직을 제안해올 경우 수락할 의지가 있음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됐다.
한 장관이 윤석열 대통령의 최측근이란 점에서 야권에서 ‘윤석열 아바타’란 비난이 나온다는 질문에는 “지금까지 공직 생활을 하면서 공공선을 추구한다는 한 가지 기준으로 살아왔다”며 “그 과정에서 누구도 맹종한 적 없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기들(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이재명 대표를 맹목적으로 추종하고 절대 복종하니까 남들도 다 그럴 거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민주당이 오는 28일 밀어붙이려는 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 관련 특검법에 대해서는 “법 앞에 예외는 없어야 한다”면서도 법안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법안에 정의당이 특검을 추천하고 결정하게 돼 있고, 수사 상황을 생중계하게 돼 있는 독소조항까지 있다”며 “무엇보다 총선에서 민주당이 원하는 선전·선동을 하기 좋게 시점을 특정해 만들어진 악법”이라고 비판했다.
당 핵심부에선 한 장관으로 의견을 모았지만, 비주류 의원들 사이에서는 반대 목소리도 적지 않다. 전날 현역 의원과 전국 원외당협위원장 연석회의에선 한 장관을 비대위원장으로 인선하는 안을 놓고 격론을 벌였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당에선 한 장관 인선안과 관련해 당원 여론조사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20일엔 당 상임고문단 회의를 열어 원로들의 의견도 구할 예정이다. 당 주류는 ‘한동훈 비대위’ 대세론을 띄우고 있지만 반발이 이어지는 만큼 잡음을 줄이기 위해서다. 비주류 의원들 사이에선 한 장관의 ‘총선 역할론’에는 동의하지만, 정치 경험이 없는 만큼 비대위원장보단 선거대책위원장 자리가 더 적절하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설지연 기자 sj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