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12/AA.35389136.1.jpg)
김정수 미래에셋자산운용 리서치본부장(사진)은 21일 “반도체 턴어라운드가 스마트폰과 PC의 수요 둔화로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지만 챗GPT 등 생성형 AI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폭발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외국인 투자자가 상반기 한국 증시에서 12조원어치를 순매수했는데, 이 중 90% 이상이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집중됐다”며 “해외투자자가 한국 반도체 ‘입도선매’에 나선 것”이라고 해석했다.
김 본부장이 운용하는 미래에셋코어테크 펀드는 반도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 테크주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국내 공모펀드 시장이 오랜 기간 침체에 빠져 있지만 이 펀드는 순자산 규모(7735억원)가 3년 만에 세 배 불어났다. 성과가 입소문을 타면서 뭉칫돈이 몰려들었다. 이 펀드의 올해 수익률은 34.91%(15일 기준)로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를 20.28%포인트 앞지르고 있다. 2019년 10월 설정 이후 누적 수익률은 78.17%에 달한다.
김 본부장은 “한국이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점한 기업은 대부분 테크 기업”이라며 “국내 주식은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테크주에 집중하고 다른 산업군은 해외 증시에 투자하는 전략을 쓰는 투자자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2차전지는 당분간 비중을 줄이는 편이 좋다고 봤다. 김 본부장은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리하면 전기차에 보조금을 주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령을 수정할 가능성이 있다”며 “불확실성 확대에 실적 부진까지 겹쳐 당분간 반등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