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29일 ‘2023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 동향’을 발표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7.5%) 후 최고치였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7월 2.3%까지 낮아졌지만 8월(3.4%) 이후 12월(3.2%)까지 5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이어갔다. 여름철 기상 악화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농산물 가격이 불안한 흐름을 이어가면서 신선식품지수를 비롯한 체감물가가 큰 폭으로 올랐다.
올해 물가상승률을 품목별로 보면 전기·가스·수도가 전년 대비 20.0% 높아졌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후 13년 만의 최고치다. 작년(12.6%)에 이어 두 자릿수 상승률을 이어갔다.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과 한국전력의 누적 적자를 감안해 정부가 전기요금을 올린 영향이 컸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은 4.0%였다. 작년 상승률(4.1%) 대비 소폭 하락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9% 올랐다. 작년 상승률(6.0%)보다 상승 폭이 크게 둔화했다.
12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3.2% 상승했다. 특히 신선식품이 전년 동월 대비 14.5% 올랐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3.1%였다.
통계청이 이번에 처음 조사해 공개한 이달 기준 외식배달비는 1년 전보다 4.3%가량 높아졌다. 배달비는 10건 중 3건이 3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배달비는 배달로 외식을 주문했을 때 지불하는 가격과 매장에서 외식을 주문했을 때 가격의 차이로 산정했다.
기획재정부는 “근원물가 둔화 흐름 등을 고려하면 내년에도 물가 안정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며 “다만 겨울철 기상 여건, 수에즈 운하 통행 차질 등 불확실성도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은은 물가상황 점검회의에서 “농산물 가격이 점차 안정되고 국제 유가가 다시 크게 오르지 않는다면 앞으로도 물가 상승률은 둔화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이나 그 속도는 완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