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중소벤처기업부가 권명호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한국경제신문이 분석한 결과, 2018년 중기부 보조금 수령액 상위 100개사의 영업이익 합계는 2018년 -141억원에서 2019년 -729억원, 2020년 -1090억원, 2021년 -2688억원으로 적자가 커졌고 2022년에도 -1291억원에 달했다. 2021년은 코로나19 여파가 컸다는 점을 감안해도 2018년 이후 지난해까지 4년 만에 영업적자가 9배로 늘어난 것이다.
이들 100개사가 2018년 받은 보조금은 총 5327억원이었다. 기업당 53억원꼴이다. 그런데 기업당 영업이익은 2018년 -1억4000만원에서 지난해 -12억9000만원으로 악화됐다. 한국은행 조사 결과 2018~2022년 전체 중소기업의 영업이익률이 평균 3.5% 수준인 것과 대조적이다. 중기 보조금이 경쟁력 떨어지는 기업에 집중 지원되지만 효과가 미미하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중기부의 중소기업 지원사업은 2018년 102개에서 작년 217개로 늘었고, 지원 규모는 이 기간 7조9574억원에서 9조9486억원으로 증가했다. 중소기업 중 한계기업은 2801개에서 3264개로 늘었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도 못 갚는 기업이다. 중소기업 중 한계기업 비중은 14.9%에서 16.3%로 늘었다. 장우현 조세재정연구원 재정정책연구실장은 “정부 지원을 받은 중소기업들이 보조금에 안주하면서 혁신 유인이 떨어지는 현상이 뚜렷하다”며 “중기 지원 체계를 성장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전면 개편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한신/강경주 기자 ph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