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7.30796592.1.jpg)
얼마 전 만난 한 50대 대기업 임원은 대학입시 얘기가 나오자 하소연부터 늘어놨다. “킬러문항을 없애겠다”는 입시당국의 발표에 기대했던 고3 딸이 ‘불수능’으로 인한 성적에 낙담해 재수를 하겠다는 것이다. 고교 3년제가 사실상 4년제가 돼가고 있다는 푸념까지 더했다.
재수·반수를 비롯한 ‘n수생’이 가계 사교육비 부담의 새로운 복병으로 떠올랐다. 2000년대 20%대에 머물던 n수생 비중은 지난해 35%까지 치솟으며 2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킬러문항’ 배제 기대에 멀쩡히 학교를 다니던 대학생들까지 반수 대열에 합류한 여파가 컸다는 게 입시 현장의 설명이다. 지방대에서 ‘인서울’ 대학으로의 진입, 의대·치대·약대 쏠림도 요인으로 꼽힌다.
최근 정부가 확정한 2028학년도 대입수학능력시험 개정안에도 학부모들의 시름은 가시지 않고 있다. 현재 중학교 2학년부터 치르는 수능부터 문·이과 구분하지 않고 모든 수험생이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을 공통과목으로 치르게 하는 게 새 입시안의 핵심이다. 지금 수능은 국어는 2개 과목 중 하나, 수학은 3개 과목 중 하나, 사회과학은 무려 17개 과목 중 최대 2개를 선택하는 ‘다차 방정식’이다. 수학은 확률과 통계를 택하는 문과생보다 미적분·기하를 선택하는 이과생이 표준점수가 높은 독특한 구조다.
현재 수능 체계는 재학생보다 반수, 재수 등 n수생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할 뿐 아니라 가계의 사교육비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판단이 교육당국이 개편안을 내놓은 핵심 배경이다. 막판까지 추가 여부를 고심한 ‘심화수학’을 배제하고, 수험생이 실제 받은 원점수와 전체 평균의 차이를 가중 평가하는 표준점수제 역시 난수표 같다는 지적이 많아 없애기로 했다.
바뀌는 수능에선 국어와 과학이 중요해질 것이라는 학원가의 전망에 관련 전문 학원을 문의하는 학부모도 적지 않다. 종로학원 등에 따르면 불수능에 가까웠던 지난해 수능 이후 재수를 택하겠다는 재학생 비중이 40.4%에 달했다. 시험 결과에 상대적으로 아쉬움이 큰 3등급의 경우 재수 의사가 47.6%로 절반에 육박했다. 냉온탕을 오가는 수능의 예측성과 수용성을 높이는 게 중요한 이유다. 재수를 권하는 수능이 지속되는 한 대입 개편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은 공염불에 불과하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