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가 밴 성명서를 발표한 부산 의료계의 문제 제기는 크게 봐서 세 가지로 정리된다. 지역 상급종합병원으로, 전국 최고 수준이라는 부산대병원의 응급외상센터를 떠나 몇 시간을 허비해 가며 서울로 이동한 것과 그 과정 및 이후에 나온 민주당 관계자들 언사에 대한 비판이다. 한마디로 야당 대표도 지역 의료 수준을 못 믿는다는 것을 공공연히 드러내 우리 사회의 큰 숙제인 ‘지역 의료 불신’을 부채질했다는 것이다. 성명서는 또 “심각한 응급상황이 아니었음에도 119 헬기를 전용한 것은 그 시간대에 헬기 이송이 꼭 필요한 환자들의 사용 기회를 강탈한 것”이라며 통상 응급체계를 무시한 위선적 특권 행태를 문제 삼았다. 부산 의사회는 나아가 “포퓰리즘에 입각한 ‘지역의사제’와 ‘지방 공공의대 설립’안을 폐기하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 상처에 대해서는 서울대병원에서도 다소 신중한 의견이 나온 만큼 어느 쪽 주장이 절대적이라고 단정하기 이르다. 하지만 지역 의료의 근본 문제점과 분명한 원칙 및 효율적인 응급체계 운용의 중요성에 대한 지적은 전적으로 타당하다. 안 그래도 서울의 대형 종합병원으로 진료 쏠림이 갈수록 심해지면서 지역 의료계의 위기의식이 가중돼 왔다. 최근 의사 부족으로 재촉발된 의료체계 혁신론도 결국 이를 극복하자는 것이다.
이런 상항에서 이 대표의 특권적 서울 이송 치료가 불거졌다. 시종일관 험한 표현이 넘치는 성명을 보면 부산뿐 아니라 비수도권 지역 의료인들의 지금 심정은 헤아리고도 남는다. 결자해지해야 할 판에 민주당발 궤변이 잇따르니 의료 혁신은커녕 총선을 앞두고 정치 냉소를 가속화할까 걱정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