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1.35510119.1.jpg)
SK그룹은 9~12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4’에 ‘SK그룹 통합전시관’, ‘SK ICT(정보통신기술) 패밀리 데모룸’을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통합전시관은 SK㈜,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 SK텔레콤, SK E&S, SK에코플랜트, SKC 등 7개 계열사가 ‘행복’을 주제로 공동 운영한다. △고대역폭메모리반도체(HBM) △전기차 배터리 △도심항공교통(UAM) △첨단소재 △수소생태계 △소형모듈원자로(SMR) △플라스틱 재활용 △탄소포집·저장·활용(CCUS) 등을 전시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1.35510122.1.jpg)
전시를 기획한 김동현 SK USA 담당은 “테마파크로 전시관을 꾸린 것은 최근 5년간 없었던 특이한 형태의 부스”라고 소개했다. 이어 “설명만 듣는 것보다 체험했을 때 기억이 더 많이 남는다”며 “관람객이 사진을 많이 찍어 공유할 수 있도록 꾸몄다”고 덧붙였다. SK그룹의 탄소중립, AI 기술은 ‘B2C(기업·소비자간 거래)’ 제품이 거의 없어 관람객이 한 눈에 알아보기 구현하기 쉽지 않다는 단점을 보완한 전시로 분석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1.35510124.1.jpg)
SK온은 ‘댄싱 카’ 영상에서 Z폴딩, S팩, 급속충전 등 기술을 선보인다. 또 기존 제품보다 주행거리를 늘리고 충전시간을 단축시킨 하이니켈 배터리인 NCM9+를 전시한다. 올해 전시관 규모는 1851㎡(약 560평)으로 작년보다 51% 늘렸다. SK이노베이션의 분리막 자회사인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는 ‘플렉서블 커버 윈도우(FCW)’로 2022년에 이어 이번에도 ‘CES 혁신상’을 받았다. 폴더블, 롤러블 전자기기와 자동차에 쓰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리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다. SK에코플랜트는 폐기물 솔루션 ‘피클’, 현장 안전관리 플랫폼 ‘안심’으로 혁신상을 받았다. SK매직도 ‘원코크 얼음물 정수기’, ‘직수 정수기’, ‘에코클린 음식물 처리기’로 혁신상을 받았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1.35510127.1.jpg)
최태원 SK그룹 회장, 최재원 SK온 수석부회장을 비롯해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 윤영풍 SK C&C 사장 등이 CES 현장을 찾아 글로벌 기업과 사업을 논의한다. 지난해 CES 행사장엔 주요 계열사 대표이사들이 10여 명이 참석했지만 이번엔 규모를 줄였다.
라스베이거스=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