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ZN.35515200.1.jpg)
‘CES 2024’ 개막을 하루 앞둔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 300개 자리가 마련된 사우스퍼시픽 볼룸 앞엔 500여 명이 만든 기나긴 ‘사람 줄’이 생겼다. 세계에서 제일 잘나가는 기업들이 이날 일제히 미디어데이를 열었는데도 그랬다.
하나같이 현대자동차의 ‘수소경제 구축 및 소프트웨어 강화’ 전략을 들으려는 사람들이었다. 행사장에 들어가자 카키색 가죽점퍼를 입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한눈에 들어왔다. 정 회장은 맨 앞자리에 앉아 장재훈 현대차 사장과 호세 무뇨스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OO)의 발표를 꼼꼼히 챙겨 들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AA.35521919.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AA.35522175.1.jpg)
장 사장은 “수소 (대중화가) 어렵다고 하는데 누군가는 해야 하고, 안 하면 뺏길 수 있다”며 “현대차그룹이 사명감을 갖고 꾸준하고 과감하게 진행하려고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수소에너지를 ‘기술자원’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한국엔 석유와 가스가 안 나지만, 기술만 있으면 사용할 수 있는 게 수소”라며 “20년 전만 해도 배터리가 이렇게 큰 산업이 될지 회의적인 시각이 있었지만 결국 됐다”고 설명했다.
현대차는 ‘그린 수소’(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로 물을 분해해 얻는 수소) 생산을 위해 메가와트(㎿)급 양성자 교환막(PEM) 수전해를 수년 내 양산하겠다고 밝혔다. PEM 수전해는 알카라인 수전해보다 생산비용이 1.5배 정도 비싸다. 하지만 현대차의 수소전기차용 연료전지 부품과 생산 인프라를 공용화하면 비용을 낮출 수 있다고 자신했다. 수소전기차 ‘넥쏘’의 후속 모델도 내년에 출시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소프트웨어로의 전환을 위한 출발점으로 ‘소프트웨어중심자동차’(SDV)를 꼽았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디커플링)해 각각 개발과 업데이트가 가능한 SDV를 만든다는 것이다. 송창현 현대차 SDV본부장(사장)은 “디커플링한다는 건 소프트웨어를 만들 때 어떤 하드웨어(차)에 들어가는지 신경쓰지 않겠다는 의미”라고 했다.
SDV로 축적한 이동 데이터를 AI와 접목시켜 물류, 도시운영 체계와 연결된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하는 게 SDx의 궁극적 목표다. 이를 위해 자체 개발한 대규모언어모델(LLM) 기반 음성 어시스턴트와 AI 내비게이션도 적용할 계획이다.
라스베이거스=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