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7.15214330.1.jpg)
바로 이 점이 지난달 말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을 신청한 태영그룹과 엇갈리는 대목이다. 태영은 워크아웃 개시를 위해 태영인더스트리를 매각했다. 하지만 대금 일부(890억원)를 태영건설에 납입하지 않으면서 ‘꼬리 자르기’ 논란에 휩싸였다. 정부가 “남의 뼈가 아니라 자기 뼈를 깎으라”고 몰아붙인 뒤에야 백기 투항했다.
우여곡절 끝에 지난 12일 시작된 태영건설 워크아웃은 구조조정 시대가 다시 오고 있음을 알리는 서막일지 모른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부실로 이미 수많은 건설사의 이름이 ‘다음 타자’로 오르내리는 지경이다.
한국 기업 구조조정사(史)에 새겨진 기본 원칙은 선명하다. 대주주의 책임과 고통 분담 그리고 이에 기반한 경영 정상화다. 대주주는 경영 실패에 대한 책임을 온전하게 져야 한다. 구조조정 과정에서 사재 출연과 출자 전환, 감자의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 그래야 채권단에 고통 분담을 요구할 수 있다.
‘속도감과 질서 있는 구조조정’도 필요하다. 정부와 정치권은 오는 4월 총선 표심에 눈이 팔려 구조조정 시계를 거꾸로 돌려선 안 된다. PF 옥석 가리기만으로는 역부족이다. 당장 냉정한 기업 신용위험 평가를 바탕으로 부실기업을 단계적으로 퇴출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즉각 시행해야 한다.
10여 년 만에 다시 구조조정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대주주의 책임과 고통 분담, 정치의 배제 그리고 속도감과 질서 있는 구조조정. 이 모든 게 어우러져야 비용(자금 지원) 대비 누리는 사회적 편익(일자리 유지 등)이 큰, 즉 ‘가성비’ 높은 기업 구조조정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야 제대로 된 경영 정상화도 가능하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