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2일 국회에서 정부와 당정 협의를 열고 쌀값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대책은 최근 급격한 산지 쌀값 하락 추세 속에서 나왔다. 통계청에 따르면 수확기인 지난해 10월 산지 쌀값은 20㎏당 5만4388원(5일 기준)에서 지난달 4만8958원(25일 기준)으로 약 10% 하락했다.
당정은 민간 재고가 시장에서 초과 공급 심리를 자극해 가격을 끌어내리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지난해 말 민간 재고 쌀 5만t을 매입한 데 이어 이번에 5만t을 추가로 사들이기로 했다. 추가 매입 규모는 약 1200억원이다. 공급을 줄이기 위한 대책도 내놨다. 쌀이 아니라 다른 작물로 재배를 전환하면 ㏊당 100만원을 지원하던 것을 200만원으로 단가를 올렸다.
이날 대책은 야당이 쌀값 하락 시 초과 생산량을 강제 매입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제2양곡법’을 일방 처리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4월 총선을 의식했다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더불어민주당은 전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를 열어 제2양곡법을 단독 의결했다. 지난해 4월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해 폐기된 양곡법과 비슷한 법안이다.
당정은 정부의 쌀 의무 매입을 강제하는 민주당 법안과는 다르다는 입장이지만, 정부가 시장에 직접 개입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전문가는 “식량 안보를 위해서라도 농가 소득 지원은 필요하다”면서도 “정부의 가격 지탱은 ‘쌀을 더 생산해도 된다’는 신호를 줘 공급 과잉을 심화할 우려가 있다”고 했다.
한재영 기자 jyha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