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AA.35784258.4.jpg)
경로당 점심 제공 확대는 지난해 12월 민주당이 3호 총선 공약으로 내놓은 것과 비슷하다. 민주당은 ‘주 5일 점심’ 제공을 약속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간병비 급여화’ 공약도 발표했다. 유의동 정책위원회 의장은 “정부가 2027년에 간병비 급여를 본격화한다고 발표했지만, 그전까진 부담이 여전하다”며 “내년부터 간병인 등록·자격 관리제를 도입해 간병비 급여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여당은 간병비용을 연말정산에서 세액 공제해주겠다고 했다.
간병비 건강보험 급여화 역시 작년 11월 민주당이 내놓은 총선 1호 공약과 겹친다. 정치권 관계자는 “60대 이상 지지층이 많은 여당은 ‘집토끼’를 잡기 위해서, 4050 지지율이 높은 야당은 ‘산토끼’를 잡기 위해서 사실상 같은 내용의 ‘실버 공약’을 쏟아내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재정에 대한 충분한 검토는 모두 빠졌다는 점이다. 철도 지하화가 역대 선거 때마다 늘 언급되고도 선거가 끝나면 실현되지 못한 이유는 천문학적 사업비를 충당할 재원을 마련하지 못해서다. 여당은 ‘철도 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 개발에 관한 특별법’이 최근 국회를 통과해 사업의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고 설명한다. 특별법에는 민간 사업자가 지하화 사업을 먼저 진행하고, 상부 개발이익으로 회수하는 내용이 담겼다. 정부는 철도부지를 현물로 출자하게 된다.
그러나 수익성이 나지 않는 사업에 민간 사업자 참여를 끌어들이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 서울 용산 역세권 개발 등 실패한 사례도 많다.
간병비 급여화도 건보 재정을 고려하면 만만치 않은 과제다. 간병비에 건보를 적용하면 매년 최소 15조원의 재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건보 재정은 2026년부터 적자로 돌아설 전망이다.
설지연 기자 sj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