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AA.35825794.4.jpg)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의 작년 합계 순이익은 14조9682억원으로 집계됐다. 역대 최대인 2022년(15조5309억원)보다 3.6% 감소했다. 4대 금융은 2020년까지 연간 10조원 안팎의 순익을 거뒀다. 코로나19 이후 저금리 기조 속에 대출 자산이 늘어나면서 2021년 30% 넘게 증가한 14조5428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기준금리 인상이 본격화한 2022년에는 15조원을 웃도는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일회성 비용을 감안하면 4대 금융의 순이익 감소는 ‘착시 효과’라는 시각도 있다. 4대 은행이 지난 5일부터 시작한 소상공인 이자 환급 비용을 작년 4분기 실적에 반영하면서다. KB(3330억원) 신한(2939억원) 하나(2041억원) 우리(1694억원) 등 4대 금융이 상생금융 비용으로 인식한 1조4억원을 더하면 작년 순이익은 15조9686억원으로 2022년 실적을 웃돈다.
미래 손실에 대비한 충당금을 KB(3조1464억원) 신한(2조2512억원) 하나(1조7148억원) 우리(1조8807억원) 등 4대 금융 모두 예년보다 확대한 점도 실적을 끌어내렸다.
핵심 계열사인 4대 은행의 작년 합계 순이익은 12조3217억원으로 사상 최대였다. 2022년(12조290억원)에 비해 2.4% 증가했다. 2년 연속 ‘리딩뱅크‘(순이익 1위)에 오른 하나은행과 국민 신한 등 세 곳은 역대 최대 순익을 냈다.
비은행 사업 확대로 수익을 다각화하겠다던 4대 금융의 은행 의존도는 오히려 심화됐다. 비은행 부문 강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라는 금융지주 출범 취지가 퇴색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새 회계기준(IFRS) 효과로 순이익이 증가한 보험사를 뺀 증권과 카드, 캐피털사 실적이 뒷걸음질쳤다. 해외 부동산에서 2670억원에 달하는 평가손실을 낸 하나증권은 작년 2708억원 적자를 냈다.
조달 비용 상승 여파로 KB국민카드(-7.3%) 신한카드(-3.2%) 하나카드(-10.9%) 등 카드사도 전년보다 순이익이 줄었다. 비은행 계열사 부진으로 우리금융(2조5167억원)은 작년 전체 순이익의 99.9%가 우리은행(2조5159억원)에서 나왔다. KB와 신한도 은행 의존도가 70% 수준으로 높아졌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