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01.35870103.1.jpg)
소비자 물가에 이어 생산자 물가마저 예상보다 강한 모습을 보이면서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늦게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렸다.
16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45.13포인트(0.37%) 하락한 3만8627.99로 거래를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4.16포인트(0.48%) 떨어진 5005.57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30.52포인트(0.82%) 밀린 1만5775.65로 장을 마감했다.
다음 주 월요일(19일) '대통령의 날' 휴장을 앞두고, 투자자들은 1월 PPI와 Fed 당국자 발언 등에 주목했다.
노동부에 따르면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0.1% 상승을 웃도는 수준으로 5개월 만에 최고치다.
작년 12월 PPI는 전월 대비 0.1% 하락했던 것으로 재차 수정됐다. 식품과 에너지, 무역을 제외한 1월 근원 PPI는 전월 대비 0.6% 상승해 지난해 1월 이후 1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생산자 물가가 다시 빠르게 반등하자 국채금리가 오르고, 달러화 가치가 상승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전날보다 6bp가량 올라 4.3%를 넘어섰다.
연준 당국자들의 매파적 발언도 시장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전날 뉴욕대 강연에서 미국 경제와 노동시장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어 금리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플레이션 목표치 2%를 향한 지속 가능한 경로로 가고 있는지가 아직 명확하지 않다며, 인플레이션이 계속 둔화하겠지만 시장의 기대보다는 느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경제 전망에서 올해 두 차례 금리인하를 예상했다고 부연했다.
보스틱 총재는 이날 한 인터뷰에서는 "여름께 금리가 더 중립적인 기조로 돌아가기 시작할 것"이라고 거론, 올해 여름 첫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이날 한 행사에서 기준금리를 내리기 전에 충분히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투자자들은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도 주목하고 있다.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2년 만에 순익 전환에 성공했다는 소식에 8% 이상 올랐다. 반도체 장비업체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의 주가는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면서 6% 이상 상승했다.
음식 배달업체 도어대시는 예상보다 분기 손실이 줄었다는 소식에도 8% 이상 떨어졌다.
드래프트킹스의 주가는 깜짝 손실에도 0.25% 올랐다.
엔비디아 주가는 다음 주 21일 예정된 실적 발표를 앞두고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이날 룹 캐피털은 엔비디아에 대한 종목 커버를 시작하며 투자 의견 '매수'에, 12개월 목표 주가를 1,200달러로 제시했다.
AI 열기에 한 달간 200% 가까이 폭등했던 컴퓨터 서버업체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는 이날 20%가량 급락했다. 나이키는 1700명을 감원한다는 소식에 2% 이상 하락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