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AA.35877796.1.jpg)
지난해 12월 신한금융그룹이 내놓은 슈퍼 앱 ‘신한슈퍼쏠’은 이용자 수 대비 사용 시간이 적었다. 모바일 시장 분석업체인 아이지에이웍스에 따르면 신한슈퍼솔의 지난달 안드로이드 기준 월간활성이용자(MAU)는 214만 명에 달했다. 하지만 이용 시간 기준으로는 100위 안에 들지 못했다. 다른 금융사의 슈퍼 앱도 비슷했다. KB금융그룹이 6개 계열사의 서비스를 통합해 2021년 출시한 앱 ‘KB스타뱅킹’, 하나금융그룹의 ‘하나원큐’ 등도 이용 시간 순위에서 100위권 밖에 머물렀다.
이용 시간은 소비자의 앱 활용 정도를 알려주는 핵심 지표 중 하나다. 앱 시장을 분석하는 데 주로 활용하는 MAU는 한 달에 한 번이라도 접속하면 관련 통계에 반영된다. 앱 사용에서 사용자 확보 범위를 파악하는 데 적합하다. 하지만 해당 수치는 상품 증정 등 프로모션 이벤트로 부풀리기도 쉽다는 지적이다.
그래서 이용 시간을 더 중요한 지표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유튜브와 카카오톡의 MAU는 비슷하지만 이용 시간은 유튜브가 카카오톡보다 세 배 이상 많다. 광고업계가 광고 채널로 유튜브를 더 선호하는 배경이다.
슈퍼 앱을 표방한 다른 앱도 이용 시간을 좀처럼 늘리지 못하고 있다. SK텔레콤이 지난해 9월 정식 출시한 에이닷은 지난 4~10일의 이용 시간 순위가 62위였다. 통화 녹음 기능이 없는 아이폰 이용자의 에이닷 사용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통화 녹음이 적용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 대상에선 에이닷 순위가 100위권 밖이었다.
앞으로 다양한 슈퍼 앱이 나올 전망이다. 금융사 중에선 우리금융그룹이 올 하반기 통합 플랫폼 앱 ‘뉴원뱅킹’을 출시한다. 지난달 제4 이통사로 선정된 스테이지엑스도 통신, 로봇, 도심항공교통(UAM) 등의 서비스를 한데 합친 슈퍼 앱을 내놓을 예정이다.
해외에선 소셜미디어(SNS) 엑스(X)가 지난달 엑스의 유료 이용자를 대상으로 앱에서 영상·음성 통화 서비스를 시작했다. 송금, 금융관리 등의 기능도 추가할 예정이다. X의 소유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몇 달 내 전화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X로만 문자와 영상·음성 통화를 하겠다”고 말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