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메모리 기업들의 눈은 HBM의 뒤를 이을 차세대 제품으로 옮아가고 있다. 프로세싱인메모리(PIM)가 그런 제품이다.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기만 하던 D램에 중앙처리장치(CPU) 등 연산기능을 추가한 ‘하이브리드’ 반도체다. CPU와 메모리가 ‘한 몸’이어서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지금은 따로 떨어진 CPU와 메모리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시간이 소요되지만 PIM에선 이 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이다. CPU의 부담이 줄어드니 덤으로 전력 소모량도 감소한다.
눈앞에 다가온 차세대 메모리는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XL) D램이다. CXL D램은 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 저장공간인 메모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연결해 처리 속도를 높인 제품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여러 대의 CPU와 메모리가 ‘원팀’처럼 정보를 공유하기 때문에 메모리 용량이 8~10배 늘어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현재 CXL D램 개발에 가장 앞선 곳은 삼성전자다. 2021년 세계 최초로 CXL 기반 D램 기술을 개발한 데 이어 다음달 차세대 CXL 솔루션도 공개할 계획이다. CXL D램시장은 이르면 올 하반기 열릴 전망이다. 그즈음 인텔이 CXL 2.0용 CPU를 출시할 예정이어서다. 업계에선 CXL 관련 시장이 2028년께 158억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PIM은 한창 개발 중인 기술이다. 이 칩이 장착된 PC와 스마트폰을 만나려면 몇 년은 더 기다려야 한다.
최예린 기자 rambuta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