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AA.35897488.4.jpg)
저축은행과 여전업권은 기조성한 PF 정상화 펀드가 소진된 이후 2차 펀드를 추가로 설정할 계획이다. 저축은행업계는 다음달 7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기로 합의했다. 펀드 성과가 좋으면 향후 펀드 규모를 수천억원 단위로 키우는 방안까지 거론됐다.
펀드에 민간 자금(각 1000억원)이 투입되고 민간 운용사들이 투자를 집행하다 보니 수익률을 우선시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높은 수익률을 맞추기 위해 지나치게 낮은 매입가를 제시한다는 게 금융권의 대체적 시각이다. 캠코 펀드의 목표 수익률은 연 8%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저축은행이 자체적으로 조성한 펀드의 목표 수익률은 정기예금 금리 수준으로 알려졌다.
펀드를 운용하는 운용사와 대주단 간 견해차로 거래가 불발하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지난해 캠코 플랫폼에 올라온 서울 은평구 브리지론 사업장은 최초 대출금액이 530억원, 공매 감정가는 868억원으로 평가받았다. 캠코 펀드의 입찰 금액은 300억원 수준에 불과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원금 회수까지 가능한 사업장이라고 대부분 대주가 판단했다”며 “캠코 펀드에 민간 자금을 받으면서 부동산 PF 사업장 연착륙이라는 취지가 변질했다”고 지적했다. 다른 관계자는 “주식시장을 부양하겠다고 증권시장안정펀드를 만들어 놓고 하한가에 주문을 걸어둔 것과 다름없다”고 했다.
반면 캠코 측은 대주단이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는 입장이다. 대주단이 손실을 보지 않기 위해 원금 이하에 매각하기보다는 만기 연장을 반복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캠코 관계자는 “시장가보다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으로 인수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8%라는 목표수익률은 부실 사업장을 인수하는 리스크를 감안할 때 높은 수준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