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믿을 건 아파트…작년 매매비중 74% 역대최고

입력 2024-02-21 18:02   수정 2024-02-22 01:16

지난해 전국 주택 매매 시장에서 아파트 비중이 역대 최고 수준인 74%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고 등에 따른 비(非)아파트 기피 현상으로 아파트 선호가 더욱 강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21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 주택 거래량은 55만5054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아파트 매매는 41만1812건으로, 전체의 74.2%를 차지했다. 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비중이 가장 높았다. 아파트 거래 비중은 2020년 73.0%, 2021년 65.9%, 2022년 58.7%로 하락하다가 지난해 상승 전환했다.

비아파트 거래량과 거래 비중은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작았다. 지난해 단독주택 거래량은 5만7649건으로, 전체 거래의 10.4%에 불과했다. 빌라 거래량은 8만5593건(15.4%)이었다.

지역별로 아파트 매매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시였다. 지난해 세종 주택 매매 중 아파트 비중은 94.5%에 달했다. 이어 대구(89.4%) 광주(89.3%) 울산(89.0%) 대전(80.7%) 경남(79.9%)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아파트 매매 비중은 56.6%였다. 서울의 비아파트 거래량은 2022년(4만623건)보다 31.3% 줄어든 2만7922건에 그쳐 2006년 이후 가장 적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아파트 가격이 주춤하고 부동산 규제도 완화되면서 수요자가 다시 아파트로 눈을 돌리고 있다”며 “비아파트는 아파트보다 환금성이 떨어지는 데다 전세 사기로 전세와 매매 수요가 모두 줄어 아파트 쏠림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