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01.35944285.1.jpg)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다음 달 환전 수수료 100% 면제 통장과 체크카드를 출시할 계획이다. 당초 사업 계획에는 오는 12월 출시 예정이었지만 지난 1월 토스뱅크가 불붙인 수수료 무료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출시 시점을 9개월이나 앞당겼다. 우리은행뿐만이 아니다. 국민은행도 오는 4월 관련 상품을 출시하기 위해 뒤늦은 준비 작업이 한창이다. 신한은행 역시 지난달 SOL 트래블 체크카드를 선보이며 맞불을 놨다. 이미 해외 특화 카드인 트래블로그카드를 보유하고 있는 하나은행은 카드 발급처를 전국 지점으로 확대하고 나섰다.
업계에선 후발주자인 인터넷 은행들이 금융 시장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 경쟁에 이어 상품·서비스 경쟁까지 인터넷은행에서 시작된 혁신 시도에 시중은행들이 등떠밀리듯 참전하는 모습이 연이어 나타나고 있다”며 “시장에서 무시하지 못할 대형 메기로 성장하고 있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01.35944287.1.jpg)
“인터넷은행이 기존 인터넷 및 모바일 뱅킹을 대체하기가 쉽지 않은 환경이고, 자칫 또 다른 구조적 부실을 양산하거나 심지어 금융권 전체의 존립을 위협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인터넷은행 도입에 대한 맹목적 기대를 갖기보다는 그 부정적인 효과를 억제할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1호 인터넷은행 출범 직전인 지난 2016년 한 금융지주 산하 연구소 보고서 내용이다. 당시 시중은행들은 인터넷은행의 등장을 메기보단 미꾸라지 정도로 취급했다. 7년 만에 상황이 180도 달라졌다. 미꾸라지에서 메기로 진화한 인터넷은행이 금융시장의 게임의 룰을 새롭게 정의하는 게임체인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역대급 흥행에 금융권의 움직임이 빨라졌다. 신한은행은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전 세계 30종 통화를 구매할 때 환전 수수료가 없는 ‘쏠(SOL) 트래블 체크카드’를 출시했다. 정상혁 신한은행장과 문동권 신한카드 사장이 직접 유튜브에 출연해 공격적인 마케팅도 펼쳤다.
기존에 하나 트래블로그 체크카드를 보유하고 있던 하나은행은 카드를 즉시 발급해주는 점포를 주요 거점 61개에서 전국 영업점(593개)으로 확대했다. 토스은행에서 시작된 수수료 무료 경쟁이 뜨거워지면서다.
우리은행은 외화 통장 출시를 위해 사업 계획을 손질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당초 12개월 출시 예정이던 상품을 앞당겨 출시하게 됐다”며 “환전 수수료 무료 통장과 체크카드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했다. 국민은행도 KB국민카드와 협업해 오는 4월 ‘KB국민 트래블러스 체크카드’를 출시할 예정이다. 출시 전까지 고객 확보를 위해 환전 고객을 대상으로 환율 우대 100% 쿠폰 증정 이벤트도 펼쳤다. 농협은행도 연내 출시를 목표로 관련 상품을 준비하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과거 카카오뱅크가 26주 적금, 모임통장 등으로 고객몰이에 나섰을 때와 달리 인터넷은행이 선제적으로 선보인 상품을 전 은행권이 앞다퉈 출시하는 사례는 이례적”이라고 분석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01.35944286.1.jpg)
이자가 낮은 저원가성예금 부문에서도 희비가 엇갈린다. 작년 5대 은행의 저원가성예금은 7조5430억원 감소한 반면 모임통장 등 혁신적인 상품으로 자금을 확보한 카카오뱅크는 같은 기간 5조6870억원이 늘었다.
다만 일각에서는 인터넷은행의 무분별한 사업 확장 대신 출범 목적에 집중해야 한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인터넷전문은행 3곳 중 카카오뱅크만 지난해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 목표치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재원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