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주현 한미그룹 사장은 26일 사장 부임 후 첫 언론 인터뷰에서 신약 개발과 사업 확장을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글로벌 제약사에 신약 후보물질을 기술수출해 성장하던 전략에서 한 걸음 나아가 글로벌 신약 허가단계까지 독자적으로 일궈내겠다는 것이다. OCI그룹과의 통합으로 마련되는 자금이 그 밑천이라고 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AA.35958462.4.jpg)
대표적 사례가 당뇨병 후보물질 ‘에페글레나타이드’다. 한미약품은 2015년 글로벌 제약사 사노피에 기술이전했다가 2020년 반환받았다. 한미약품은 이 물질을 포함한 5종을 비만치료제로 다시 개발하고 있다.
한미그룹은 이번 통합으로 수천억원에 달하는 글로벌 임상 비용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 기술이전 없이 자체적으로 상용화가 가능해져 글로벌 제약사로 발돋움할 단초를 마련한 셈이다. 구체적인 재원 마련 계획은 상반기에 양사 간 통합 절차를 마무리한 뒤 논의할 예정이다.
임 사장은 “체급을 앞세운 파트너사들의 무리한 요구와 한미의 재무적 한계 등으로 혁신 신약을 글로벌 3상까지 끌고 가지 못했다”며 “이번 통합으로 한미의 신약개발 기조를 굳건히 할 것”이라고 했다.
OCI그룹이 보유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두 그룹 간 시너지 효과도 기대되는 부분이다. 한미약품의 제품 판매에 OCI그룹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다.
임 사장은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활발히 사업을 진행 중인 OCI의 시장 경험을 나눌 수 있다”며 “한미가 신약 등 제품 판권을 보유한 국가에서도 OCI의 네트워크를 충분히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10년 내 매출 5조원의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목표도 제시했다. 한미약품의 지난해 매출은 1조4000억원으로 추산된다.
경영권 갈등은 다음달 말 개최될 정기주주총회에서 판가름 날 예정이다. 임종윤·종훈 형제는 자신들을 포함한 6명을 한미사이언스 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상정했다. 경영에 복귀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임주현 사장과 모친인 송영숙 회장은 31.93%의 지분을 확보한 상태다. 임성기 선대회장과 오랜 친분이 있는 신동국 한양정밀회장(12.15%)과 국민연금(7.38%), 소액주주(21%)의 표심이 향방을 가를 것으로 관측된다. 임주현 사장은 “진정으로 한미를 위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이사회를 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애 기자 0a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