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갭투자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화성(40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인천 서구(39건), 경남 김해(39건), 충남 아산(37건), 수원 영통구(36건) 순이었다. 아실은 최근 3개월간 아파트를 매매한 뒤 직접 거주하지 않고 임대 목적으로 전·월세를 내놓은 계약을 갭투자로 집계한다.
화성 병점동 ‘병점역에듀포레’ 전용면적 75㎡는 작년 12월 3억원에 매매된 뒤 바로 2억7000만원에 세입자를 구했다. 세금과 기타 비용을 제외하고 단돈 3000만원에 중소형 아파트를 사들인 것이다. 화성 향남읍 ‘화성발안우림필유’ 전용 84㎡도 지난 1월 3억2000만원에 팔린 뒤 4000만원 차이인 2억8000만원에 전세 계약이 이뤄졌다.
인천 서구 가정동 ‘진흥 2단지’ 전용 59㎡는 작년 12월 1억4500만원에 거래된 데 이어 한 달 후인 지난달 1억2600만원에 세입자를 찾았다. 매매가격과 전셋값 차이가 1900만원에 불과하다.
매매가격과 전셋값 차이가 줄면서 갭투자가 잇따르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이달 셋째 주(19일 기준)에 한 주 전보다 0.05% 하락하면서 13주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다. 하락 폭도 전주(-0.04%)보다 커졌다. 반면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0.02% 올랐다. 특히 갭투자가 활발한 수원 영통구(0.26%), 인천 서구(0.11%)·연수구(0.11%) 등의 전셋값 강세가 두드러졌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전셋값이 오르는 추세지만 지역별 편차가 큰 만큼 역전세에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윤수민 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수도권 일부 지역은 주택 공급이 단기간에 쏟아져 전셋값이 2년 전에 비해 여전히 낮은 상황”이라며 “성급히 갭투자에 나섰다가 보증금을 상환하지 못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