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AA.36018417.1.jpg)
“지난주 늘봄학교를 신청했는데 오늘까지 아무런 연락을 받지 못했습니다. 담임교사도 모른다고 하면 누구에게 물어봐야 하나요.”
초·중·고교 개학과 동시에 4일 전국 초등학교 2741곳에서 늘봄학교 운영이 시작됐지만 곳곳에서 혼란이 빚어지고 있다. 정부가 ‘출산율 반등의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내세운 늘봄학교가 현장에선 담당 강사, 운영 프로그램도 정하지 못한 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학교는 그나마 형편이 나은 편이다. 초등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담당할 강사를 구하지 못한 학교도 많았다.
C초등학교 교감은 “전체 늘봄학교 프로그램의 70%를 교사가 담당한다”며 “정책이 결정된 지 이제 한 달인데 그 안에 전국 초등학교에서 늘봄 수업을 할 강사를 전부 뽑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교사들의 행정업무 부담을 줄여준다고 공언했지만 결국 기존 교사들이 수업까지 떠맡게 된 셈이다.
늘봄학교가 제대로 시작되지 못하면서 학부모들은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당장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 조부모, 지역아동센터 등을 찾고 있다. 한 학부모는 “돌봄교실도 떨어졌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호소했다.
늘봄학교를 신청해도 탈락하는 경우 또한 있었다. 학부모 B씨는 “2개 프로그램을 신청했는데 하나는 붙고 하나는 떨어졌다”며 “프로그램별로 정원이 있어서 정원을 넘으면 추첨한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애초 오후 1~3시에 원하는 모든 초등학교 1학년 학생에게 수준 높은 프로그램을 지원하기로 했지만 공염불에 그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AA.36019928.1.jpg)
그나마 늦게 배정된 예산도 턱없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경기지역 한 초등학교는 인건비를 제외한 늘봄학교 교구비, 재료비로 1년에 100만원 정도가 배정됐다. 이 학교에서 1학년 맞춤형 프로그램에 신청한 학생은 27명. 1인당 4만원도 안 되는 셈이다. 이 학교 교장은 “최대한 돈이 들어가지 않는 수업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늘봄학교 서비스 수준을 지속적으로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육학과 교수는 “사교육과 서비스 질에 큰 차이가 난다면 자녀를 사설 학원에 보낼 수 있는 여유가 있는 부모들은 굳이 늘봄학교를 이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영연/최예린/서형교 기자 yy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