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AA.36103528.1.jpg)
이는 영국 정부의 대대적인 전력시장 개편 과정의 일환이다. 영국 정부는 12일 국가 전력 시장을 최대 7개 구역으로 나누고 구역마다 자체 전기 도매가격을 설정해 ‘지역화’하는 방안을 공개했다. 개편안에 의하면 발전소 근접성에 따라 전력 가격 변동이 커지는 만큼 풍력·태양광 발전소가 적은 지역에 이를 더 설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할 기저 전원으로서 가스발전 용량이 충분히 받쳐주지 못할 경우 대규모 정전 등이 우려됨에 따라 가스화력발전소도 함께 늘린다는 구상이다. 영국에서 가스화력발전은 연간 전력 공급량의 약 32%를 담당한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수낵 총리는 최근 “(기후 위기에 대응하느라) 영국의 에너지 안보를 걸고 도박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 정부는 지난해 9월 신규 내연기관자동차 판매 금지 시점을 기존 2030년에서 5년 늦추는 계획을 발표했다. 주택의 신규 석유·액화석유가스(LPG) 보일러 사용 금지 시점도 2026년에서 2035년으로 미뤘다.
이처럼 탄소중립 추진 속도를 현실화하는 나라가 최근 늘고 있다. 지난해 스웨덴 정부는 올해 정부 예산안에서 기후 변화 대응 및 친환경 정책 관련 예산을 대폭 삭감했다. 스웨덴은 과거 세계 최초로 탄소중립을 선언한 국가지만, 예산안 삭감 당시 “2045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미국은 올해 말 대통령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 당선되면 조 바이든 대통령의 기후위기 관련 정책을 뒤엎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2기 공약집’의 초안 격인 싱크탱크 헤리티지재단의 ‘프로젝트 2025’ 보고서에는 탈탄소산업에 4000억달러를 지원하는 대출 프로그램의 사무국 등 바이든 정부의 에너지정책 기구를 대거 해산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맷 굿윈 영국 켄트대 정치국제관계대학원 교수는 “탄소중립 추진에 대한 대중의 반발심이 선거의 해인 올해 주요국 정치권에서 ‘반란’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