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는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각급 병원이 규모가 아니라 실력에 따라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 전문성을 갖춘 강소전문병원이 더 많이 나올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 의존도가 큰 대형 대학병원의 환자 쏠림을 해소하고 중간 단계 병원을 육성해 의료전달체계를 바로잡겠다는 의미다. 국내 의료전달체계는 병원 특성에 따라 세 단계로 나뉜다. 경증 환자가 찾는 동네 병·의원(1차), 이보다 증상이 심한 환자가 수술 등을 위해 찾는 중소·종합병원(2차), 중증 암 환자 등이 주로 찾는 대형 대학병원(3차)이다.
단계에 따라 환자가 적절히 배분돼야 하지만 ‘빅5 병원’ 등 대형 대학병원 명성만 보고 경증 환자까지 서울의 큰 병원을 찾아 2차 병원들은 고사 직전이라는 지적이 잇따랐다.
전공의 집단사직은 이런 왜곡된 의료전달체계에 변곡점이 됐다. 의사 인력 40%가 전공의인 대형 대학병원이 제 기능을 못 하자 환자들이 중소·종합병원을 찾는 것이다. 전국에 분포한 109개 전문병원도 마찬가지다. 이들 병원을 육성하면 전공의 집단사직 사태가 장기화하더라도 의료 시스템이 붕괴하는 것을 막는 버팀목이 될 것으로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이날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윤 대통령은 의료개혁을 “원칙대로 신속하게 추진하라”고 지시했다고 김수경 대변인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응급 환자와 중증 환자에 대해 빈틈없는 비상 대응을 하라”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계 일각에서 정책 철회를 요구하는 데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정부가) 철회해야만 대화에 나서겠다’는 건 진정한 대화 의도로 보기 어렵다”며 “현장을 이탈하는 집단행동에 대해서는 교수도 예외가 될 수 없다”고 했다. 교수들의 집단 사직도 원칙에 따라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