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111017.1.jpg)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04만3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2만9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1월(38만명)에 이어 두 달 연속 30만명대를 유지했다.
15~64세 고용률은 30대와 40대, 60세 이상 등에서 상승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0.7%포인트 상승한 68.7%를 기록했다. 1989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2월 기준으로 가장 높다. 15~29세 고용률은 46.0%로 전년 동월 대비 0.5%포인트 올랐다. 경제활동참가율도 63.6%로, 1999년 이래 2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실업률은 3.2%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1%포인트 올랐다. 다만 15~29세 실업률은 6.5%로 같은 기간 0.5%포인트 낮아졌다.
기획재정부는 “청년층부터 중장년층·고령층까지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이 고르게 상승했다”며 “향후 고용시장은 수출개선 등 경기회복에 따라 양호한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같은 고용지표 호조를 무조건 긍정적으로만 바라볼 수 없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특히 통계에 잡히지 않는 취업 포기자나 다름없는 ‘쉬었음’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것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다. 특히 ‘경제허리’인 30~40대의 ‘쉬었음’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인구) 중 활동 상태를 ‘쉬었음’이라고 답한 인구는 257만4000명에 달했다. 전년 동기(263만5000명)에 비해선 2.3% 감소했다. 다만 코로나19로 고용한파가 몰아쳤던 2020년 2월(235만7000명)과 2021년 2월(257만3000명)을 웃돈다.
특히 지난달 기준 30~40대 ‘쉬었음’ 인구는 60만2000명으로, 전년 동기(56만3000명) 대비 6.9% 증가해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기존 역대 최대치였던 지난 1월(59만4000명)에 비해 8000명 늘어나면서 한 달만에 경신했다.
‘쉬었음’이라고 답한 사람들은 중대한 질병 등 특별한 이유가 없음에도 무직으로 지내고 있지만, 구직 활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통계상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는다. 통상 비경제활동인구는 육아·가사·통학·기타 등으로 분류되는데, ‘쉬었음’은 이 중 기타에 해당한다. 말 그대로 특별한 이유 없이 쉬었다는 뜻이다.
통계청의 지난해 설문조사에 따르면 ‘쉬었음’이라고 답한 사람의 37.3%는 ‘몸이 좋지 않아 쉬고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19.0%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 쉬고 있다’고 답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