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149131.1.jpg)
지난 15일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북쪽 고덕신도시 16블록 주택가. 반도체 공장 인부들을 겨냥해 들어선 260여 채의 상가주택 대부분에 ‘임대문의’라는 종이가 붙어있었다. 점심시간임에도 인적은 드물었고, 쓰레기통 앞엔 흙이 묻은 작업화가 널브러져 있었다. 반도체 공장 건설 인부라는 김모 씨는 “최근 고덕동을 떠나는 일용직이 늘면서 이렇게 옷가지와 생활용품을 내다 버린다”고 전했다.
한때 ‘일용직의 엘도라도’로 불리던 경기 평택시 고덕동의 활황세가 꺼져가고 있다. 반도체 불황의 여파로 삼성전자가 ‘투자 속도 조절’에 나서면서다.
이날 고덕동의 모습은 한적하기 그지없었다. 첨단대로의 공장 맞은편 해장국집엔 15개 테이블 중 절반이 비어있었다. 얼큰 해장국 윤모 사장은 “작년부터 사람이 서서히 빠졌고, 2월부터 P5(5공장) 공사가 중단됐다”며 “한창때와 비교하면 반의반으로 손님이 준 것”이라고 했다. 단골손님이 없는 도로 안쪽 상가 대부분은 장사를 중단한 상태였다.
공장 북서쪽 대로변에는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PM·개인형 이동장치)가 스무대 남짓 보였다. 도로변 300m가량 구간엔 작년 가을께까지만 해도 근로자들이 출근길에 타고 온 오토바이가 새까맣게 주차돼 있었다고 한다.
점심 식사 후 커피를 마시는 중인 근로자들에게 ‘한창때(2022년 여름)와 비교하면 투입 인력이 얼마나 줄었나’고 묻자 당시(최대 6만~7만명)의 ‘3분의 1’, ‘4분의 1’ 등 다양한 답이 돌아왔다. 전기설비 기공(기능공)이라는 김모 씨는 “재작년엔 하루 2공수(오전 7~저녁 9시)를 뛰면 50만원, 한 달 1000만원을 버는 건 일도 아니었지만, 지난달엔 겨우 300만원을 가져갔다”고 했다.
P4(4공장) 조공(보조 근로자)이라는 오모 씨(55)는 “6만명이 하루 1.5~2공수를 매일 하다시피 하는 날도 있었는데, 요즘엔 대부분이 일주일 2~3공수를 겨우 한다”며 “2만~3만명이 현장에 남아있다고 보면 일감이 10분의 1로 쪼그라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근 고덕국제신도시 아파트값도 매매가가 30%, 전세보증금은 20%가량 빠졌다. 2021년 말 8억8000만원까지 올랐던 고덕신도시자연앤자이 전용 84㎡ 실거래가는 6억원이고, 전셋값은 4만3000만원에서 3억원으로 하락했다. S공인 관계자는 “공장이 가동되고 삼성이나, 관련 업체 직원들이 들어와야 하는 곳”이라며 “올들어선 거래가 성사되는 사례가 드물다”고 걱정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149104.1.jpg)
평택시도 울상을 짓고 있다. 삼성전자로부터 걷는 올해 지방법인세(법인세의 10%인 지방소득세 중 평택시 납부분)가 작년1799억원 대비 1000억원 가량 줄 것으로 예상돼서다. 평택시는 도로망과 도서관 건립 등의 신규 건설 프로젝트를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공장이 본격 가동되고, 이익도 늘어야 법인세가 늘어나는 구조”라며 “현재 2만여명이 일하는 P4(4공장) 투입 인원이 이달 말부터 1만여명으로 줄어든다는 소식도 걱정”이라고 설명했다.
평택=박시온/조철오 기자 ushire908@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