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AA.36149863.1.jpg)
결국 2023년 합계 출산율이 0.72명으로 떨어졌다. 2022년의 0.78명이 내심 지하실이기를 기대했지만, 현실은 마치 고장이 난 잠수함에 갇혀 지구에서 가장 깊은 곳으로 떠내려가는 것처럼 보인다. 대한민국의 미래가 소멸되지 않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에 인적자원, 특히 직장인의 경력개발 관점에서 출산율에 대해 한마디를 더하려 한다.
한국에서 자신의 전문성을 살려 일하는 맞벌이 부부가 되기 위해서는 세 번의 어려움을 이겨내야 한다. 이 멀고도 외로운 길을 감당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 많은 직장인 부부들이 출산을 포기하면서, 무자녀 부부인 ‘딩크족’ 비율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7.34789894.1.jpg)
어렵게 취업에 성공해서 이제 겨우 업무를 배워나가기 시작한 상황에서, 얼마 되지 않는 짧은 경력으로 직장을 그만두면 향후 경력이 단절될 가능성이 너무 높다. 자기 경력에서의 성공 그리고 미래의 소득을 포기하면서 자녀를 낳기 위해서는 엄청난 용기가 필요하다. 기존의 신입사원 채용 관행을 개선해 청년들이 좀 더 일찍 노동시장으로 진입할 수 있는 길을 터줘야 한다.
자녀가 2~3세를 전후로 본격적으로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기 시작하면 일하는 부모는 육아를 위한 일정 관리가 가능해야 한다. 자녀를 보육기관 종료 시각에 맞춰 데리러 가야 한다면, 반드시 정해진 시간에 이동해야 한다. 휴일에 가족과의 일정이 있다면, 그날은 일에서 벗어나 가정에 집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할 일을 다 마치고도 상사 눈치를 보며 퇴근하지 못하거나, 휴일 직전 갑작스러운 업무 지시에 급히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 반복된다면, 계속해서 직장 생활을 하는 데 회의를 느끼게 된다. 일하는 부모가 안정적으로 육아를 할 수 있는 인사제도와 조직문화 개선이 아직도 너무 아쉽다. 가족 친화적 경영으로 강력한 채용 브랜드를 구축한 기업들의 우수 사례가 확대될 수 있는 유인책 마련이 요구된다.
자녀가 7세에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순간, 부모는 천신만고 끝에 이룬 경력을 포기해야 할 수도 있다. 직장을 그만둔다고 해도 마음이 편하지 않다. 어린 자녀가 방과 후 수업과 사교육 기관을 전전하고 밤늦게까지 학원 숙제에 시달리는 모습을 보면, 부모로서 미안한 마음과 죄책감이 든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과 비교했을 때 81% 수준, 미국과 비교해서는 67% 수준에 불과한 초등학교의 정규 교육 시간에 대한 사회적 고민을 시작해야 할 시점이다.
지난 수년간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여러 정책이 도입됐다. 하지만 간헐적이고 제한적인 지원으로는 아이를 낳고 세대를 이어가고자 하는 인간 본연의 욕구를 따르기가 녹록지 않다. 일하는 부모가 이 험난한 여정을 지치지 않고 완주할 수 있도록 연속적이고 포괄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