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AA.36151132.1.jpg)
반면 교육위에선 16명 중 6명만 본선행이 결정됐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는 40%로, 두 번째로 본선행 확률이 낮은 상임위로 집계됐다.
공천장을 받지 못한 비율이 높은 상임위에서는 위원장들도 공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교육위원장인 김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경선을 치르고 있다. 김 의원 전에 교육위원장을 맡았던 유기홍 민주당 의원은 경선에서 탈락해 본선행에 실패했다. 과방위원장인 장제원 의원은 일찌감치 불출마를 선언했고, 여당 간사를 맡고 있는 박성중 의원은 보수 텃밭 서울 서초을에서 험지로 분류되는 경기 부천을로 지역구를 재배치받았다.
국회 관계자들은 “상임위마다 권력의 차이가 있다”며 “예산을 ‘당겨올 수 있는’ 상임위가 인기”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의원들 사이에선 지역 예산을 끌어올 수 있는 국토위, 문체위 등이 인기다. 이에 비해 지역구 예산에 권한이 크지 않은 교육위 등은 비인기 상임위로 분류된다.
일부 의원은 인기 상임위를 선거 캠페인에 활용하기도 한다. 경기 성남분당을에 출마하는 김병욱 민주당 의원은 선거 슬로건 중 하나로 “3선 국토위원장이 돼 분당의 광역교통체계를 혁신해 나가겠다”를 내걸었다. 분당 지역의 최대 이슈가 재건축 등 지역 개발 이슈라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다만 상임위 간 공천 확률이 벌어질수록 입법 정책의 연속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
공천이 확정된 교육위 의원 대부분은 “22대 국회에서는 교육위에서 활동하지 않겠다”는 생각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주연 기자 grumpy_ca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