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AA.36149465.1.jpg)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 수사 외압’ 의혹으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수사를 받고 있는 이종섭 주호주대사에 대해 “공수처는 즉각 소환을 통보하고, 이 대사는 즉각 귀국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그동안 “이 대사 임명 철회는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총선을 앞두고 수도권 위기론이 불거지자 한 위원장이 대통령실과 각을 세우며 방향 전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한 위원장은 이날 열린 첫 선거대책위 회의에서도 ‘이 대사 문제를 어떻게 용산에 건의할지 고민’이라는 취지의 언급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5일 광주를 방문한 자리에서도 “(이 대사가) 신속하게 (국내에) 들어와서 정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야당의 공세라는 점을 부각했던 데서 ‘신속 해결’을 촉구하는 방향으로 입장이 달라진 것이다.
이 대사는 이날 KBS와의 화상 인터뷰에서 “공수처가 요청한다면 언제든지 귀국해서 조사받겠다”며 “4월 말 공관장회의 기간에 공수처와 일정을 잡아서 가는 것으로 조율이 됐다”고 말했다. 야권의 사퇴 요구에는 “자리에 연연하지 않는다는 말씀을 드리겠다”고 했다.
이날 한 위원장은 기자들과 식사 중 1980년대 ‘언론인 회칼 테러 사건’을 언급해 논란이 된 황상무 시민사회수석에 대해선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은 발언”이라며 “본인이 스스로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도 황 수석의 거취와 관련해 다양한 방안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권을 비롯한 국민의힘 총선 출마자들도 한 위원장과 지도부를 향해 두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경기 성남분당을에 출마하는 김은혜 전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자신의 SNS에 “이종섭 즉시 귀국, 황상무 자진 사퇴가 국민 눈높이”라고 썼다. 김 전 수석은 “(이 대사의) 도주 우려가 없다는 것은 잘 안다”면서도 “공수처의 수사 일정을 조사 대상자에게 맞출 순 없다.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전날엔 함운경(서울 마포을) 이상민(대전 유성을) 후보 등 탈(脫)민주당 인사들로 구성된 ‘체인저벨트’ 소속 국민의힘 후보 9명이 공개 성명을 내고 이 대사의 자진 귀국과 신속한 조치를 촉구하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막말 논란’으로 공천이 취소된 부산 수영과 대구 중·남 지역구에 각각 정연욱 전 동아일보 논설위원과 김기웅 전 통일부 차관을 전략공천했다.
설지연 기자 sj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