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은 2018년 벤처 나라에 드론 제품 등록을 시작으로, 2019년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에 우수 조달 물품 및 다수공급자 제품을 등록했다.
그러나 글로벌 기업 위주로 빠르게 성장하는 민간 제품과 달리 공공시장에서는 품질 불량 등의 지적이 있었다.
조달청이 마련한 공공시장 드론 기술·품질향상 방안의 핵심 내용은 △국내 기업의 기술개발 및 품질 제고 유도 △공공기관 드론 운용역량 제고 △드론 판로 확대 등이 있다.
국내 기업의 기술개발 및 품질 제고를 위해 기술 우수 국산 제조 드론에 대해 최대 이윤율(25%)을 보장해 주기로 했다.
우수 조달 물품·혁신제품의 경우, 외국산 부품을 국산으로 대체하거나 시범 구매 시 성능을 향상하면 규격 변경을 허용하는 등 국내 제조 드론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했다.
시험성적서 제출을 의무화하고, 혁신제품 평가 시 실물 심사 실시, 성능평가·시연이 이뤄지는 협상 계약 적용 확대 등 품질평가도 강화했다.
입찰에 참여하는 제조사가 충실한 제조공정을 거치도록 30일 이상 충분한 납품 기간을 보장했다.
공공기관이 드론 운용 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드론 사용자 조종 자격 취득 교육을 지원하고, 조달 안전관리 물자로 지정·관리하기로 했다.
하자로 인한 사업 차질에 대응하기 위해 구매 협의 시 하자보수 보증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연장했고, 드론 종합보험 가입도 유도하기로 했다.
국내 드론 제조업체가 공공판로를 기반으로 성장하고 글로벌 수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공공부문에 드론 상품 발굴 및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교육·실습용 등 상용 드론 쇼핑몰계약(다수공급자계약, MAS)을 추진하고, 혁신제품 지정·구매를 확대할 방침을 세웠다.
계약방식도 구매방식에 더해 렌털, 조종 교육 등 서비스 계약방식으로 다변화했다.
임기근 조달청장은 “공공구매력을 활용해 국내 드론 제조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