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205227.1.jpg)
최근 구스 다운 가격 급등에도 중국의 수요가 작용하고 있다. 중국인들이 구스다운을 입기 시작하면서 국내 패션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달부터 올 가을겨울(24FW)에 판매할 패딩 생산을 시작한 패션업체들은 패딩 원료인 다운을 구하지 못해 비상이 걸렸다. 구스 다운 가격은 올 들어 ㎏당 110달러대를 넘나들며 전례없는 수준으로 치솟았다. 국내 패션업체들은 다운의 80% 이상을 중국산에 의존하고 있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미리 계약한 구스 다운 물량도 공급해주지 않는 경우가 많다. 패션업계에선 ‘제2의 요소수 사태’란 말도 나온다”고 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205226.1.jpg)
다운 가격이 급등한 원인은 여러가지다. 먼저 중국인들이 구스 다운을 입기 시작하면서 중국 내수 수요가 급격히 늘었다. 이번 겨울 중국의 기온이 평년보다 낮았던 것도 구스 다운 제품 수요를 끌어올린 원인으로 꼽힌다. 베이징에선 지난 달 중순까지도 최저 기온이 영하 10도에 머무는 등 장기간 한파가 이어졌다.
중국 소셜미디어인 틱톡 등을 통해 ‘왕훙’ 등 인플루언서들이 구스 다운을 판매하기 시작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11~12월 중국 내 소셜미디어 등 온라인 채널을 중심으로 구스 다운 제품 판매가 폭발적으로 늘며 블랙홀이 됐다.
중국 내 아웃도어 패션 시장의 성장도 구스 다운 가격 급등의 원인이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탄력을 받기 시작한 중국 아웃도어 패션 시장은 올림픽, 아시안 게임 등 수 차례의 국제 대회를 거치며 급속도로 성장했다.
가장 근본적이면서도 주된 원인은 공급 부족이다. 중국에선 최근 값 비싼 오리와 거위 고기 소비는 줄고, 닭과 돼지 고기를 소비는 늘고 있다. 이에 따라 거위털과 오리털 공급이 감소했다. 거위털과 오리털은 거위와 오리를 키워 고기를 팔고 남은 부산물이다. 국내 다운 공급업체인 다음앤큐큐의 양지연 차장은 “식생활 변화 뿐만 아니라 농민의 인건비와 사료값 상승, 환경 규제 강화 등의 여파로 거위와 오리를 키우는 중국 농가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스 다운 가격의 고공행진은 지속될 전망이다. 단기적으로 2025년 하얼빈 동계 아시안 올림픽이 예정돼 있어 중국 내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이란 예상이다. 장기적으로는 공급 감소 요인이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전 세계 다운의 70~80%를 공급한다.
다운 가격 급등은 패션업체들의 실적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관측이다. 패업체들의 수익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의류가 패딩이다. 다른 의류 제품군에 비해 가격이 높기 때문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205228.1.jpg)
다운 파동이 반복될 것이란 전망에 국내업체들은 신소재 개발에 나섰다. 다음앤큐큐, 신주원, 태평양 등 다운 공급업체들은 물론 영원아웃도어 등 브랜드업체들도 천연 다운을 대체할 인공 충전재 등을 다각도로 검토중이다.
아웃도어 브랜드 노스페이스를 운영하는 영원아웃도어 관계자는 “노스페이스는 ‘브이모션’ ‘티볼’ ‘온볼’ 등 인공충전재를 잇달아 개발해 선보이고 있다”며 “해당 제품들은 보온성, 경량성 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다운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높고 세탁 등 관리가 쉬워 인기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