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AA.36149295.1.jpg)
저축은행에서 판매 중인 파킹통장 중 가장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은 OK저축은행의 ‘OK짠테크통장’이다. 이 상품은 복잡하고 까다로운 우대금리 조건 없이 50만원까지 연 7%(세전 기준)의 금리를 준다. 50만원 초과 1억원 이하 예치금에 대해선 연 3.3%의 금리를 제공한다.
애큐온저축은행의 ‘머니 모으기 통장’은 매주 설정한 최대 200만원까지의 도전 금액을 모으면 최고 연 5% 금리를 적용한다. 현금 여유가 있다면 다올저축은행의 ‘Fi 자산관리통장’도 눈여겨볼 만하다. 이 상품은 잔액이 많을수록 높은 이자를 받는다. 잔액이 3억원 미만이면 연 2.6%, 3억원 이상이면 연 3.8%를 제공한다. 5000만원 이하분에 대해 최고 연 3.6% 금리를 주는 BNK저축은행의 ‘삼삼한 파킹통장’도 고려해볼 만하다.
인터넷은행의 파킹통장도 최근 금리는 낮아졌지만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다. 케이뱅크의 ‘생활통장’은 300만원까지 연 3% 이자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케이뱅크는 이 통장에 월 300만원 잔액을 유지한 고객에게 쿠팡·네이버 멤버십의 구독료를 돌려주는 혜택도 제공하고 있다. 1년간 매달 300만원을 통장에 넣어두고 구독료를 돌려받으면 이자(연 3%)와 월 구독료를 합해 연 5% 수준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케이뱅크의 또 다른 상품인 ‘플러스박스’는 조건 없이 누구나 하루만 맡겨도 연 2.3% 금리를 제공한다. 최대 10억원까지 입금 가능하다.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는 하루만 맡겨도 연 2% 금리를 제공하며 이자를 원할 때 바로 받을 수 있다. 최대 1억원까지 보관 가능하다. 토스뱅크의 ‘토스뱅크 통장’은 연 2.0%의 금리를 주고 있다. 금액 제한은 없다.
시중은행 상품 중에선 광주은행의 ‘365파킹통장’, SC제일은행의 ‘내월급통장’이 최고금리 연 3.5%로 가장 높다. 365파킹통장은 별도 조건 없이 잔액 구간별로 금리가 차등 적용되는 상품으로 △1000만원 이하 연 3.0% △1억원 이하 연 2.0% △ 1억원 초과분에는 연 0.01%를 제공한다. 매주 토요일에 이자를 지급한다. 내월급통장은 급여를 받는 직장인에게 특화한 자유 입출금통장이다. 기본금리 연 1.0%에 더해 다양한 부수거래 조건 달성에 따라 우대금리를 최고 2.5%까지 추가 제공한다.
우대금리 조건은 △은행 첫 거래 고객에 1년간 0.5%포인트 △급여이체 금액에 따라 0.2~1.0%포인트 △SC제일은행 상품 수에 따라 0.1~0.2%포인트 등이다.
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