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ZA.36167837.1.jpg)
대형병원이 중증환자와 응급환자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정부가 상급병원과 종합병원 간 진료협력체계를 강화한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22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서 진료협력체계 강화를 위해 상급종합병원과 협력체계를 구축할 종합병원 100곳을 '진료협력병원'으로 지정하고, 세부 운영에 필요한 지침을 배포했다고 밝혔다.
환자의 병원 간 이송 등 전원을 지원하는 '진료협력센터'에 인력이 추가 배치될 수 있도록 인건비를 지원하고, 오는 25일부터 상급종합병원에서 협력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하면 9만원 이내 '진료협력지원금'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상급종합병원이 환자를 전원할 때 환자에 가장 적합한 병원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협력병원의 진료역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진료역량 정보는 병원이 보유한 병상의 종류, 진료과목, 시술, 검사, 재활, 항암, 투석, 수혈, 처치, 간병 등이다. 전산시스템이 개편되는 다음 달부터는 실시간 조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ZA.36148572.1.jpg)
정부는 지난 11일부터 회송 환자 수가를 150% 인상했고, 환자가 부담하던 구급차 이송료도 정부가 전액 부담하고 있다.
이번 지원을 통해 정부는 병원 간 협력이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기대했다. 향후 암 진료 등 전문 분야에 대한 협력병원도 추가 지정할 방침이다.
전공의 파업 등으로 필수 의료 분야 진료 공백이 심화하지 않도록 '시니어 의사'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지난해 12월 기준 50세 이상 79세 이하의 의사 중 활동하지 않는 의사는 약 4166명으로 파악됐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ZA.36203176.1.jpg)
정부는 의료기관들이 이러한 시니어 의사를 신규 채용하고, 퇴직을 앞둔 의사는 계속 임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또한 국립중앙의료원에 '시니어 의사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진료를 희망하는 시니어 의사 이력 풀 구축과 교육, 시니어 의사와 병원 연계를 돕는다.
박 차관은 "국립중앙의료원에 설치될 센터에서 시니어 의사의 구체적인 역량과 경력을 감안하고, 인력 수요가 있는 기관의 요청에 따라 매칭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관에는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기대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