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은 27일 이같은 내용의 '서울형 늘봄학교 추진대책'을 발표했다. 교육부와 각시도 교육청은 이번 학기부터 원하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은 모두 학교에서 돌봄을 이용할 수 있는 늘봄학교를 운영중이다. 전국에서 2740여개 학교가 참여했지만 서울에서는 전체 605개교 중 38개교만 참여해 전국에서 참여율이 가장 낮았다. 서울시교육청은 늘봄학교 추가 신청과 교육지원청 추천을 받아 5월부터 참여교를 151개(25%)로 늘릴 계획이다. 최종 참여 학교 규모는 4월에 확정된다.
늘봄 프로그램도 강화한다. 먼저 교육과정과 연계를 높이기 위해 '늘봄 브릿지', '교육과정을 품은 늘봄학교'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로 했다. 돌봄 내실화를 위해 무료로 제공되는 2시간(오후 1~3시) 맞춤형 프로그램 외에 오후 4시에 하교하는 추가 돌봄을 제공한다.
장애학생도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수요조사와 공간확보 등을 거쳐 4월부터 서울정민학교와 서울정진학교 등 특수학교 2곳에서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늘봄학교를 시범운영한다.
지역사회 돌봄기관과의 연계를 강화한다. 유관기관이나 지역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예체능, 인공지능(AI), 디지털, 경제·금융 교육 등 전문성 있는 프로그램을 확대할 계획이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늘봄학교 현장 지원을 통해 상반기 운영학교의 어려움과 우수사례를 파악해 정밀한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2학기 전면 시행에 차질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