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AA.36285543.1.jpg)
소문난 잔치인 만큼 볼거리도 풍부하다. 1년 반 만에 돌아온 ‘장타 여왕’ 윤이나(21)의 복귀, 여기에 신인의 패기에 성숙함까지 더한 방신실(20)·황유민(21)의 대결, ‘대세’ 이예원(21)의 독주 지속 여부 등에 골프팬들의 이목이 집중될 전망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AA.36285531.1.jpg)
불과 몇 해 전까지만 해도 KLPGA투어는 아기자기하고 정교한 플레이라는 인식이 많았다. 대부분의 선수가 비거리가 길지 않은 대신 정교한 플레이로 승부를 펼쳤기 때문이다. 하지만 2022년 윤이나의 등장은 장타와 공격적인 플레이로 팬들의 갈증을 한 번에 날렸다. 그리고 지난해에는 호쾌한 장타의 방신실, 공격적이고 저돌적인 플레이의 황유민이 등장하면서 KLPGA투어에 보는 재미를 더했다. 2022년 6월 한국여자오픈에서의 ‘오구 플레이’로 출전 정지 징계를 받은 윤이나는 4일 개막전부터 팬들 앞에 다시 선다. 그해 7월 호반 서울신문 클래식 이후 1년9개월 만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AA.36285541.1.jpg)
올해도 이예원은 일찌감치 독주를 위한 채비를 마쳤다. 지난 17일 태국에서 열린 블루케니언 레이디스 챔피언십에서 시즌 첫 승을 올렸다. 올 시즌 단 두 번째 출전 만에 우승컵을 거머쥐며 ‘올해도 대세는 이예원’임을 증명할 준비를 마쳤다. 이예원은 지난해 아깝게 놓친 다승왕을 올해 반드시 따낸다는 각오다.
오수민은 이미 골프팬들에게 강한 눈도장을 찍었다. 지난 10일 하나금융그룹 싱가포르 오픈 최종 라운드에서는 챔피언조에서 당당하게 우승을 다퉜다. 특히 18번홀(파5)에서 친 두 번째 샷에서 드라이버를 잡고 투온을 노리는 패기를 보였고, 단독 3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진 23일 아시아·태평양지역 최고 권위 아마추어 여자 대회 퀸 시리키트컵은 한국 여자골프의 희망을 보여줬다. 오수민은 마지막 날 버디 7개를 잡아내며 개인전을 우승했고, 이효송 김시현(18)과 함께 단체전 우승을 합작했다. KLPGA투어에서는 매 대회 유망한 아마추어들을 초청 선수로 출전시킨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