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99.11185221.1.jpg)
‘안정적인 직장’의 대명사로 꼽혔던 공무원 시험의 인기가 시들해지고 있다. 요즘 수험생 사이에 인기를 누리는 시험은 감정평가사·세무사·노무사 자격시험이다. 전문성을 가지고 오랫동안 일할 수 있는 길로 여겨져서다. 교육업계도 수요가 쪼그라든 공무원 시험 준비 대신 전문 자격시험 대비 프로그램을 늘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세무사·노무사 지원자 ‘역대 최고’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AA.36328561.1.jpg)
노무사 1차 시험 응시자도 가파르게 늘고 있다. 2018년 4744명에 그쳤지만 작년엔 1만225명으로 1만 명을 넘겼고 올해는 1만2662명까지 증가했다. 불과 1년 새 23.8% 늘어났다. 감정평가사는 올해 접수 인원이 6746명으로 작년보다 262명 늘었다. 법무사 시험 지원자 수 역시 큰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2019년(3795명)까지 3000명대였던 1차 시험 지원자 수는 2020년 4072명, 2021년 4910명, 2022년 5646명으로 증가한 뒤 2023년 7616명으로 크게 뛰었다.
반면 공무원 시험 지원자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올해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 채용 시험 평균 경쟁률은 21.8 대 1로 1992년(19.3 대 1) 이후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해 지원자 수도 작년(12만1526명)과 비교하면 1만7929명 급감했다.
자격시험 학원들은 이 같은 분위기 변화를 체감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한 학원 관계자는 “2019~2020년 피크였던 공무원 시험 시장이 시들해지면서 학생 수가 눈에 띄게 줄었다”며 “감정평가사와 법무사 수강생은 작년 대비 20%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직업·연봉 안정성↑
고학력자를 중심으로 공무원 시험 수요가 전문직 자격시험 수요로 옮겨갔다는 분석이다. 투자해야 하는 시간과 노력은 배로 들지만 직업 안정성이 보장되고 연봉도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받을 수 있다는 인식에서다.자격증 시험 업계 관계자는 “특히 대학 졸업자와 관련 분야 전공생 등 고학력자들이 공무원 시험에서 전문직 자격시험으로 바꿔 준비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에듀윌의 지난해 말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중 63.8%가 전문직 자격증 도전 이유로 ‘직업에 대한 안정성’을 1순위로 꼽았다. 2위는 ‘높은 수준의 연봉’(48.5%)이었다.
대기업이나 공기업의 ‘문과생 수요’가 전반적으로 줄어든 것도 수험생이 전문직 자격시험에 도전하게 하는 이유다. 교육업체 박문각의 한 관계자는 “문과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위기감이 크다”고 전했다.
인기가 많은 자격시험은 그만한 이유가 있다. 세무사 시험은 양도세나 증여세 등 세무 업무 수요가 전반적으로 증가한 영향이 있다. 최원석 에듀윌 세무사학원 원장은 “자격증 평균 취득 기간이 2년6개월로 다른 전문 자격증에 비해 짧은 편이고, 40대 이후에도 취업이나 개업이 가능한 게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노무사 시험의 인기는 노동규제 강화 경향과 관계가 깊다. 문재인 정부에선 주 52시간 제도, 직장 내 괴롭힘 방지법, 중대재해처벌법 등 노동 관련 규제가 늘었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주 52시간제 유연화, 노조 회계 투명성 등 노동개혁이 추진됐다. ‘임금피크제 무효 판결’ 등 기존 해석을 뒤집는 판결이 잇따르고 있는 데다 법과 정책이 갈수록 복잡해지는 것도 노무사 수요를 늘리는 요인이다.
이혜인/곽용희 기자 he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