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AA.36329379.4.jpg)
부동산금융 시장에 역대급 한파가 불고 있다. 지난해에는 고리대금 수준의 금리에 돈을 빌린 사업장의 이자 부담이 눈덩이처럼 커졌다면, 올해 들어서는 그마저도 끊어져 공매의 갈림길에 서 있다. 자금경색 여파는 수도권 외곽을 넘어 서울 중심부까지, 비주택을 넘어 아파트까지 미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올 1분기 자금을 조달한 신규 브리지론은 서울 성수동 ‘크래프톤 타운 업무시설 개발사업’ 한 건이다. 게임 개발업체 크래프톤이 80%를 선임차하는 사업인 점을 감안하면 신규 브리지론 시장이 ‘실종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10대 건설사가 올해 새로 추진한 주택사업(신규 브리지론 기준)은 단 한 건도 없다. 기존에 땅 작업이 끝나 본PF를 조달한 사업도 시장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1분기 이뤄진 공동주택 PF는 5건, 1조3100억원 규모다. 오피스텔, 도시형생활주택 등 비아파트 가운데 PF가 이뤄진 곳은 한 건도 없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10대 건설사조차 브리지의 ‘브’자도 못 꺼내는 분위기”라며 “미룰 때까지 미룬 사업만 간신히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신규 주택사업이 멈추면 2~3년 후 입주 대란으로 이어진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건설사와 시행사에 공공택지 용지를 매각한 뒤 받지 못한 연체 금액은 1월 기준 1조5190억원에 달한다. 민간 사업까지 고려하면 생사의 갈림길에 선 아파트 사업은 훨씬 늘어난다.
법정 상한이자 연 20%를 웃도는 계약이 많아 자금을 조달한 사업장도 분양까지 정상적으로 추진될지 장담할 수 없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1분기 PF 시장만 놓고 봐도 예년의 4분의 1토막 났다”며 “업계에선 총선 후 시행사의 줄부도를 기정사실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4000억원 규모 브리지론을 받은 서초구의 한 고급주택 사업도 일부 채권단이 땅을 팔아 대출금을 상환할 것을 주장하면서 사업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한 금융사 관계자는 “사업성과 관계없이 2회 이상 연장된 브리지론은 충당금을 설정하도록 하면서 혈관이 다 막혔다”며 “출구전략 없이 고금리로 현장을 유지하다 보니 멀쩡한 시행사도 고사 위기에 놓였다”고 말했다.
한국자산관리공사 온비드에 따르면 올 들어 이날까지 개찰이 진행된 신탁사의 토지(대지) 매각 공매는 91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56건)보다 2.6배로 늘었다. 올해 공매 물건의 낙찰비율은 1.5%(14건) 수준이다. 공매로 넘어간 사업장은 ‘반값’에도 매수자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2월 공매로 나온 서초구 서초동의 한 토지는 여덟 차례 유찰됐다. 최소 입찰금액이 1030억원에서 537억원으로 낮아졌다. 한 시행사 대표는 “최근 금융당국이 원금의 30%만 건져도 공매를 강행하라는 지침을 내렸다”며 “부동산금융 시장이 망가진 틈을 타 선순위 채권자와 짜고 고의 부도를 일으키는 외국계 펀드까지 등장했다”고 말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