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AA.36302636.1.jpg)
‘슈퍼주총 시즌’이 끝났다. 12월 결산 국내 상장법인의 정기 주주총회 일정이 3월 하순께 집중적으로 몰려 있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즈음에 늘 따라다니는 말 중 하나가 ‘주주환원정책’ 또는 ‘주주친화정책’이다. 이와 함께 빠지지 않는 말 중 ‘배당정책’도 있다. 이는 기업 이익을 주주들에게 언제, 어떤 형태로, 얼마나 분배하느냐에 대해 기업이 세운 방침을 말한다. 요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부각되니 ‘기업의 ESG 투자정책’이란 표현도 자주 눈에 띈다.
이에 비해 다음 문장에 쓰인 정책은 자연스럽다. “정책서민금융 상품 중 하나인 소액생계비대출이 시행된 지 1년이 지났다.” 정부의 ‘외국인 투자정책’이나 ‘금리정책’도 눈에 익숙한 표현이다. 왜 이런 차이가 생길까? 정책이란 말의 정체를 알면 이해가 된다.
‘정책(政策)’은 “정치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꾀하는 방책”을 말한다(<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의 풀이는 좀 더 구체적이다. “정부나 정치 단체, 개인 등이 정치적인 목적을 실현하거나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취하는 방침이나 수단”이라고 했다. 그러니 ‘정책’은 행정 또는 정치 용어로 써야 적절하다. 쓰임새를 보면 더 분명하다. ‘외교정책, 교육정책, 경제정책, 산업정책, 문화정책, 복지정책, 국방정책, 통상정책, 환경정책, 외환정책, 통화정책’ 같은 게 용례다. 정부나 정치권에 쓰는 말이란 게 드러난다.
‘방침’이나 ‘지침’을 쓰기도 한다. “회사 정책에 따라 오늘부터 출근 시간은 오전 10시다.” 이런 표현이 왜 적절치 않은지 이제 알 수 있다. ‘회사 정책’이 아니라 ‘회사 방침(지침)’이라고 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경영정책’보다 ‘경영방침’ ‘경영전략’ ‘경영지침’ 같은 게 말의 쓰임새 측면에서 더 잘 어울리는 표현이다. 앞에서도 “고가정책으로 배짱 영업”이 아니라 “고가전략으로 배짱 영업”이라고 해야 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AA.27975217.1.jpg)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