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AA.36361564.1.jpg)
백승한 우진 대표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회사 실적 전망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우진은 한국 표준형 원자력 발전기에 사용되는 4대 주요 계측기(원자로 상태 측정 장비) 납품을 주력 사업으로 한다. 원자로 내 제어봉 위치를 감지하는 계측기(RSPT), 원자로 내 냉각재 수위를 측정하는 계측기(HJTC), 원자로 내 핵분열 상태를 측정하는 계측기(ICI assembly) 등이다.
백 대표는 “국내 원전 가동률이 주요 영업 지표인데 2018년 65%에서 올해 85%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돼 계측기 등 납품 물량이 많아질 것 같다”고 설명했다. 우진은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1, 2호기에 56억원 규모의 핵심 부품을 공급한 적 있어 수출 확대 가능성도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글로벌 원전 투자 금액은 2016~2020년 363억달러(약 49조원)에서 2026~2030년 1079억달러(약 146조원)로 늘어날 전망이다.
차세대 원전인 소형모듈원자로(SMR) 관련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백 대표는 “한국 미국 러시아 중국 등에서 80종 이상의 SMR을 개발 중인데 2040년까지 3000억달러(약 405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 같다”며 “대형 원전 계측기 기술 노하우와 강점을 적극 활용해 SMR에 적용 가능한 핵심 계측기를 개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신성장동력인 수소환원제철 분야 연구개발(R&D)도 확대하고 있다. 백 대표는 “포스코가 2050년까지 20조원을 투자해 수소환원제철소를 건립할 계획”이라며 “2030년까지 100만t 규모의 실증 설비를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여기에 함께 참여하고 있다”고 했다.
화성=윤현주 기자 hyunju@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