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만약 이런 식의 인사가 단행된다면 책임져야 할 사람에 대한 ‘돌려막기 인사’ ‘측근·보은 인사’”라며 “총선 결과를 무시하고 국민을 이기려는 불통의 폭주가 계속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총리 임명은 국회 인준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과반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민주당 협조 없이는 불가능하다. 만약 민주당의 반대에도 임명을 시도할 경우 4·10 총선 결과로 나타난 바닥 민심이 다시 부각될 수 있는 만큼 대통령실 입장에서는 부담이다.
민주당 내에선 특히 윤석열 정부 장관 출신 인사 기용에 대한 비판 여론이 강하다. 민주당 한 의원은 “친윤계인 권 의원이 총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한 총리 후임을 하는 게 무슨 국정기조 전환인가”라며 “국민을 우습게 아는 것”이라고 했다.
정치권에는 “대통령실이 추천하는 첫 번째 총리 후보자는 무조건 낙마시킨다는 것이 민주당의 전략”이라는 관측이 파다하다. 윤 대통령의 국정 쇄신 조치 의미를 깎아내리기 위해서라도 새 총리 임명에 일단 협조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 한 관계자는 “총선을 통해 사실상 국민들에게 불신임받은 윤 대통령이 추천하는 총리를 야당이 덥석 동의하는 것은 윤 대통령의 국정 쇄신을 인정하는 꼴이 된다”고 했다.
민주당 일부에서는 윤 대통령이 아예 후임 총리 추천권을 국회에 넘겨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한 초선 의원은 “국민들이 야당에 힘을 실어준 만큼 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이는 차원에서 총리 추천권을 국회에 넘기는 것도 방법”이라고 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물론 국정운영의 책임을 나눠지게 된다는 점에서 민주당 지도부가 이를 수용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평가다. 이 같은 어려움을 감안해 대통령실은 가능한 한 계파색이 옅은 정치인 출신을 총리 후보자로 내세우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민주당이 거론한 인사들 외에도 주호영 의원과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이주영 전 해양수산부 장관까지 후보군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한재영/양길성 기자 jyha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