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한 대로다. 연금개혁이 이런 식으로 되면 개혁이 아니라 개악에 가깝다. 국민연금 1안과 2안은 기금 고갈 시점만 보면 2061년과 2062년으로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연금 재정 측면에선 하늘과 땅 차이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안은 향후 70년간 국민연금 누적 적자를 1970조원 줄이는데 1안은 오히려 702조원 늘린다. 즉 1안은 현세대가 져야 할 부담을 미래세대로 떠넘기는 것이다. 선택지를 1, 2안만 둔 것도 문제다. 보건복지부 산하 국민연금 재정계산위원회에선 연금이 지속 가능하려면 보험료율을 적어도 15%까지 올려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는데, 이 방안은 아예 선택지에 없었다.
기초연금의 경우 지금 방식은 정부가 감당하기 어렵다는 국책연구소 지적이 나온 지 오래다. 기초연금 지급에 들어가는 예산은 2014년 6조8000억원에서 지난해 22조6000억원으로 늘었다. 올해는 24조원이다. 국민소득이 높아질수록 이 규모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도 시민대표단 토론에선 현행 유지안이 더 많았다.
이런 설문 결과는 처음부터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었다. 연금개혁을 하려면 내는 돈을 늘리고 받는 돈을 줄이거나 적어도 현 수준을 유지해야 하는데, 고통 분담을 좋아할 국민은 많지 않은 게 현실이다. 그런데도 정부는 지난해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등 핵심을 쏙 뺀 맹탕 연금개혁안을 국회에 제출했고, 국회는 여론의 눈치만 살피고 있다. 연금개혁이 산으로 갈 판이다.
연금개혁을 하려면 객관적인 재정계산과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정부가 책임 있는 개혁안을 만들고 국민을 설득하는 게 정석이다. 프랑스 일본 등 연금개혁에 성공한 나라들도 그랬다. 누구도 고통을 짊어지지 않는 방식으로 연금개혁을 하겠다는 건 달콤한 유혹일 뿐 실제로는 가능하지 않다. 지금부터라도 정부가 책임감을 보여야 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