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AA.36526720.1.jpg)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사진)은 25일 서울 역삼동에서 최종현학술원(이사장 최태원)이 개최한 ‘AI로 다시 쓰는 바이오 혁신’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사장은 “외부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종합적인 AI 로드맵을 짜기로 했다”며 “전문적인 파트너들도 적극적으로 영입하는 ‘오픈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했다.
SK바이오팜은 자체 개발한 뇌전증 신약 ‘엑스코프리’를 북미 등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시킨 이후 제2의 먹거리를 찾고 있다. 희귀 신경계 질환 등을 표적으로 하는 다양한 파이프라인(후보물질)을 개발 중인데, 이 과정에서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SK바이오팜은 2020년 처음 선보인 자체 AI 신약 개발 플랫폼 허블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허블플러스(HUBLE+)’도 올해 선보일 예정이다. 기존 허블은 저분자 화합물을 개발할 때만 도움을 줬다면, 허블플러스는 AI 적용 범위를 차세대 성장동력인 방사성의약품(RPT), 표적 단백질 분해 치료제(TPD), 세포·유전자치료제(CGT) 등으로 넓힐 계획이다. 이 사장은 “AI는 약을 개발하는 무기이고, 옵션이 아니라 필수”라며 “결국에는 약을 빨리 출시해 관련 비용을 줄이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SK바이오팜은 AI 바이오 스타트업과의 협업도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다. 이 사장은 “미국 머크(MSD) 등 거대 제약사들도 AI 바이오텍들과 합종연횡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며 “항상 외부 역량을 영입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했다. 전문적인 파트너를 적극적으로 영입하는 ‘오픈 생태계’를 조성해 가겠다는 의미다.
이날 환영사를 한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는 “기본적으로 신약은 값이 너무 비싸 일부 사람들만 혜택을 보게 된다”며 “하지만 AI는 약 개발 비용을 전반적으로 낮춰주는 만큼 신약의 혜택을 더 많은 사람이 볼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