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07.33540843.1.jpg)
하지만 문재인 정부 5년 동안 이 법안은 국회에서 단 한 번 논의조차 되지 않았다. 민주당은 야당이 되고 나서야 기다렸다는 듯 법안을 밀어붙였고, 작년 11월 국회 본회의에서 강행 처리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유도한 정략적 노림수라는 평가가 많았다.
진짜 궁금한 건 민주당이 대선 공약이었던 이 법안을 정작 여당일 때 뭉갠 이유다. 당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에선 파업 손배소 문제가 부각되지 않아 논의가 후순위로 밀렸을 뿐”이라고 했다. 그러다가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이 2022년 10월 파업을 벌인 하청 노조원에게 손배소를 제기하면서 논의가 다시 급물살을 탔다는 것이다.
민주당이 여당일 때는 소극적이다가 야당이 된 후 밀어붙이는 법안은 이뿐만 아니다. 최근 야당이 일부 문구를 수정해 국회 본회의에 다시 직회부한 양곡관리법 개정안도 그런 경우다. 쌀 생산량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거나 가격이 기준 아래로 떨어지면 정부가 쌀을 ‘의무적으로’ 매입하도록 하는 게 골자다. 이 법안도 2019년 여당인 민주당 의원이 발의했지만 정부 반대로 추진되지 않았다. 게다가 문재인 정부는 2020년 쌀 가격이 목표 가격을 밑돌면 농가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변동직불금제마저 폐지했다. ‘쌀의 과잉 생산을 부추긴다’는 이유였다. 현재 정부와 여당이 양곡관리법을 반대하는 것과 정확히 똑같은 논리다.
정치적 득실을 따지지 않고 노동시장 이중 구조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방법과 한국 농업의 선진화된 미래에 대해 함께 고민하자고 제안한다면 역사적인 영수회담으로 남을 것이다. 반대로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반시장적 법안을 통과시켜 놓고 거부권 행사를 최소화하라고 대통령을 압박하거나 고물가를 걱정한다며 물가를 더 자극할 현금 살포를 거듭 주장한다면 정쟁만 남긴 회담으로 끌날 것이다. 국민들은 이제 175석을 가진 민주당의 대여(對與) 투쟁력이 아니라 수권 정당으로서의 책임감을 확인하고 싶어 한다.
관련뉴스